[씨줄날줄] 아웃사이더/강동형 논설위원

[씨줄날줄] 아웃사이더/강동형 논설위원

강동형 기자
입력 2016-11-11 18:04
업데이트 2016-11-12 00: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아웃사이더에서 미국 대통령으로.’ 도널드 트럼프 제45대 미국 대통령 당선자 이름 앞에 유독 ‘아웃사이더’라는 접두사가 붙는다. 트럼프는 과거는 물론 선거 기간 중에도 직설적이고, 가벼운 말투로 언론의 지탄을 받았다. 이런 이미지 탓인지 ‘아웃사이더…’에서 부정적인 느낌을 강하게 받는 것도 사실이다.

아웃사이더(outsider)의 사전적 의미는 국외자, 사회를 유지하는 틀에서 벗어나서 독자적인 사상을 지니고 행동하는 사람을 일컫는다. 때로는 ‘이단아’, ‘외톨이’ 등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영국 출신의 평론가 콜린 윌슨이 1956년 ‘아웃사이더’란 책을 펴낸 이후 아웃사이더란 용어가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다. 그는 아웃사이더는 기존의 틀 속을 벗어나기 위해 사회를 변화시키는 힘을 가진 존재로 그리고 있다. 저자는 또 아웃사이더를 현재적이고 실존적인 아웃사이더와 이상적이고 낭만적인 아웃사이더로 분류한다. 실존적 아웃사이더는 ‘진리란 무엇을 말하는가’에 관심을 갖고, 낭만적 아웃사이더는 ‘진리는 어디서 찾을 수 있을까’에 관심을 갖는다고 한다. 행동과 사고방식은 다르지만 이들의 공통점은 진리 추구에 있다. 이는 기존 질서에 대한 저항과 사회 변화를 이끄는 동력으로 이어진다. 문학작품에서 많은 주인공이 아웃사이더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들이 초월적인 정신세계를 가지고 자신과 세상을 변화시키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고전소설 홍길동전의 주인공 홍길동은 대표적인 아웃사이더라고 할 수 있다.

트럼프 앞에 붙는 아웃사이더는 중의적이다. 막말을 자주하는 이단아, 외톨이라는 부정적인 의미도 있지만 워싱턴 정가의 정치 경험이 없다는 의미가 강하다. 경쟁자였던 힐러리 클리턴은 국무장관을 역임하는 등 정치적인 경험이 풍부한 데 비해 트럼프는 정치 경험이 전무하다는 의미로 사용된다. 미국에서 발행하는 신문 제목이나 기사에 ‘아웃사이더 트럼프’라 하지 않고 ‘정치적 아웃사이더(political outsider) 트럼프’라고 표현하는 것만 봐도 알 수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 언론이 정치적이란 단어를 생략하면서 부정적인 이미지를 강화했다고 할 수 있다. 미 대통령 당선자 가운데 정치적인 경험이 없는 아웃사이더 대통령은 트럼프가 처음은 아니다. 미국 언론들은 1929년 31대 대통령에 당선된 허버트 후버 이후 처음이라고 한다.

아웃사이더는 기존의 틀을 부정하고 변화시키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런 점에서 트럼프의 미국 대통령 당선은 그 자체만으로도 미국뿐만 아니라 세계 질서의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트럼프의 당선으로 불확실성이 높아졌다고 하는 것은 트럼프의 아웃사이더적인 기질 탓이다. 아웃사이더 트럼프 시대가 연착륙하길 기대해 본다.

강동형 논설위원 yunbin@seoul.co.kr
2016-11-12 23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