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회고록 논란’에 “사실 관계는 당시를 잘 기억하는 사람에 물어라”

文, ‘회고록 논란’에 “사실 관계는 당시를 잘 기억하는 사람에 물어라”

이슬기 기자
입력 2016-10-17 16:40
업데이트 2016-10-17 16: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가 17일 오전 인천 남동구 디와이 본사 방문을 마친 뒤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2016. 10. 17 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가 17일 오전 인천 남동구 디와이 본사 방문을 마친 뒤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2016. 10. 17 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는 17일 참여정부 임기 말인 2007년 유엔 대북인권결의안 기권 과정에서 자신이 당초에는 결의안에 대해 찬성 입장이었다는 참여정부 인사들의 증언에 대해 “솔직히 그 사실조차 기억이 잘 안난다”고 말했다.

문 전 대표는 이른바 ‘송민순 회고록’ 파문 와중에 인천의 이익공유 기업 ‘디와이’를 방문한 자리에서 ‘결의안에 처음에는 찬성했다고 하더라’는 기자들의 질문을 받고 “저는 기권을 주장했을 것 같은데 다 그렇게 했다고(찬성을 했다고) 하네요…”라며 이같이 답변했다.

이어 문 전 대표는 당시 상황을 잘 기억하지 못한다는 투로 “모르겠다. 그때 남북정상회담도 했기 때문에 인권결의안도 함께 하는 게 균형에 맞다고 생각했든지, 또 제가 워낙 인권변호사 출신이어서 인권을 중시해서 그렇게 했든지, 안 그러면 외교부로부터 설명을 많이 들어 외교부 논리에 조금 넘어갔든지 잘 모르겠다”고 덧붙였다.

문 전 대표 측 김경수 의원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당시에는 전체적인 남북현안을 챙기기에 바빴다. 또 (11월 16일은) 북한 총리가 청와대에 들어갔다가 나온 날이기도 하지 않나”라며 “이 탓에 인권결의안에 관한 사안은 기억에 거의 없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재정 전 통일부장관의 발언이나 2012년 홍익표 의원이 했던 말들을 종합하면, 문 전 대표가 초기에 찬성했다는 것은 객관적인 사실일 가능성이 큰 상황”이라며 “그렇다고 자신에게 유리한 상황에 대해서만 기억난다고 할 수는 없으니 있는대로 솔직하게 말한 것”이라고 전했다.

문 전 대표는 행사 직전 기자들을 만나서는 사실관계에 대한 입장을 거듭 묻자 “사실관계는 당시를 잘 기억하는 분들에게 물으세요”라며 했었다. ‘기권 결정을 한 뒤 북한에 통보한 것이라고 하든데…’라는 질문에도 별다른 답을 하지 않았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