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시론] 새 감염병엔 전 세계 네트워크로 대응해야/이재갑 한림대의대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

[시론] 새 감염병엔 전 세계 네트워크로 대응해야/이재갑 한림대의대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

입력 2016-09-12 23:00
업데이트 2016-09-13 00: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이재갑 한림대의대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
이재갑 한림대의대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
지난해는 신종 감염병인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가 유행하더니, 올해는 익숙하지만 잊힌 질병 콜레라가 15년 만에 다시 찾아왔다. ‘후진국형 질병의 귀환’이 연일 언론 보도를 장식했다. 하지만 사실 콜레라는 ‘후진국형’이라고 말하기 어려운 질병이다. 지구온난화로 기후가 변화하고 식수원이 오염되면 선진국에서도 얼마든지 산발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일종의 ‘재출현 감염병’이라 할 수 있다. 콜레라뿐만 아니라 장티푸스, 세균성 이질 등도 그렇다. 2011년 유럽에서도 장출혈성 대장균 감염병이 확산된 바 있다. 오염된 채소가 원인이었다. 이런 감염병은 자칫 방심했다간 대량 발생으로 이어질 수 있다.

사스(2003년), 전 세계적인 신종인플루엔자 대유행(2009년), 서아프리카의 에볼라 창궐(2014년), 한국의 메르스(2015년), 중남미의 지카바이러스(2016년) 등 우리를 놀라게 한 굵직굵직한 감염병만 해도 그렇다. 18세기 말 백신의 효시인 종두법이 시행되고 1940년대 항생제 페니실린이 개발되고 나서 인류는 이제 감염병의 위협으로부터 안전할 것이라 여겼다.

하지만 에볼라바이러스나 지카바이러스처럼 지금껏 들어 보지도 못한, 또는 관심이 없었던 바이러스가 버젓이 전 세계적인 공중보건학적 위기를 초래하고 있다. 어느 병원 중환자실을 가더라도 환자의 생명을 위협하는 항생제 내성균이 만연하다. 기후 변화로 최근에는 모기나 곤충 매개 질환이 극성을 부린다. 동남아시아와 중남미 지역에서는 지카바이러스만 유행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이들의 사촌 격인 뎅기열과 치쿤구니아열도 확산되는 추세다. 아프리카에선 백신이 개발되고 나서 한동안 잠잠했던 황열이 유행하기도 했다.

모기 매개 질환이 21세기 들어 계속 문제를 일으키는 이유는 1970년대 인간이 초래한 산업화와 도시화 때문이다. 그 부메랑이 모기 매개 질환으로 인간에게 돌아오고 있다. 폐타이어와 같은 공사 폐기물이 넘쳐나고, 무분별하게 개발하다 중단돼 폐허가 된 지역에는 웅덩이가 생겨 모기가 잘 살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졌다. 모기가 살던 지역이 도시화되면서 바이러스 질환을 옮기는 숲모기가 도시에 적응해 살기 시작했다. 지구온난화로 모기가 살 수 있는 영역이 계속 넓어지는 것도 문제다.

이런 현실적 위협에 우리는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새로운 모기 방역 기술이 개발되고 있고, 유전자를 조작해 생식 기능이 없는 모기를 만들어 모기의 개체수를 줄이려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폐타이어나 웅덩이처럼 물이 고일 수 있는 환경을 개선하려는 노력도 하고 있다. 황열 백신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뎅기열 백신도 출시됐다. 효능을 개선하고 뎅기열 발생 지역을 중심으로 예방접종을 본격적으로 시행하면 뎅기열도 조절 가능한 질환이 될 수 있다. 지카바이러스 백신도 황열과 뎅기열 백신을 개발한 노하우를 바탕으로 몇 년 내 개발될 가능성이 있어 모기 매개 질환 일부는 백신으로 조절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인플루엔자를 극복하기 위해 백신과 항바이러스제들이 지속적으로 개발돼 출시되고 있다. 각 국가가 인플루엔자에 대비하고 있어 새로운 인플루엔자 대유행이 도래하더라도 이전보다는 대응하기가 어렵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이런 식의 기술 개발로는 모기 매개 질환과 새로운 감염병, 또는 재출현 감염병을 조절하는 데 한계가 있다. 환경파괴와 지구온난화에 대한 범세계적인 개선 노력이 함께 이뤄져야 근본적인 해결책을 찾을 수 있다. 그러지 않고선 10~20년 후 모기 매개 질환의 지형도를 바꿀 수 없다.

에볼라나 메르스처럼 새로운 감염병의 출현에는 전 세계적인 네트워크를 만들어 대응할 필요가 있다. 메르스의 교훈처럼 감염병은 해외에서 발생하더라도 몇 년, 짧게는 단 몇 개월 만에 우리나라에서도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우리도 여러 감염병에 상시로 대비해야 하는 이유다.

2015년 메르스 유행을 겪으면서 한국의 감염병 관리 시스템은 몹시 아픈 백신을 맞았다. 앞으로도 우리가 미처 예측하지 못한 많은 감염병이 출현할 것으로 보인다. 무엇보다 감염병에 대한 장기적인 로드맵을 만들어 차근차근 준비해야 할 때다.
2016-09-13 3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