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여야 3당대표 연설 키워드로 본 ‘정치의 방향’

여야 3당대표 연설 키워드로 본 ‘정치의 방향’

허백윤 기자
허백윤 기자
입력 2016-09-07 22:44
업데이트 2016-09-08 00: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정현 ‘국민’ 87회 최다 언급
추미애 ‘경제’ 67회나 사용해
박지원 ‘국회’ 56회 ‘압도적’


여야 3당 대표들은 20대 첫 정기국회를 맞아 국민을 위한 정치를 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그런 가운데서도 새누리당 이정현 대표는 국회 개혁에,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대표는 민생경제 살리기에, 국민의당 박지원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는 대통령의 변화와 국회의 역할 강화에 초점을 맞췄다. 서울신문이 7일 ‘뉴스젤리’의 워드 크라우드(글에 쓰인 단어의 빈도수에 따라 핵심 단어를 시각화) 기법에 따라 여야 3당 대표들의 연설문을 분석한 결과다.

서울신문이 7일 ‘뉴스젤리’의 워드 크라우드(글에 쓰여진 단어의 빈도수에 따라 핵심 단어를 시각화) 기법에 따라 여야 3당 대표들의 연설문을 분석한 결과. 새누리당 이정현(맨 위) 대표는 “국회의 개혁을 통해”, 더불어민주당 추미애(가운데) 대표는 “민생경제 살리기로”, 국민의당 박지원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는 “대통령의 변화와 국회의 역할 강화”에 초점을 맞춘것으로 나타났다. 뉴스젤리 제공
서울신문이 7일 ‘뉴스젤리’의 워드 크라우드(글에 쓰여진 단어의 빈도수에 따라 핵심 단어를 시각화) 기법에 따라 여야 3당 대표들의 연설문을 분석한 결과. 새누리당 이정현(맨 위) 대표는 “국회의 개혁을 통해”, 더불어민주당 추미애(가운데) 대표는 “민생경제 살리기로”, 국민의당 박지원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는 “대통령의 변화와 국회의 역할 강화”에 초점을 맞춘것으로 나타났다.
뉴스젤리 제공
이 대표는 지난 5일 ‘국회 70년 총정리 국민위원회를 만들어 국민주도 정치 혁명을 이루자’는 제목의 연설에서 ‘국민’이라는 단어를 87회로 가장 많이 사용했다. 국민은 박근혜 대통령의 취임사에서도 가장 많이(48회) 사용된 말이다. 이 대표는 ‘국민의 눈높이’를 모든 정치의 기준으로 삼겠다면서 국회의 특권 내려놓기, 정치개혁, 개헌 등 각종 현안에 국민을 대입했다. 이 대표는 이어 국회(41회)와 정치(32회), 국회의원(22회) 순으로 많이 사용했고 ‘호남’(18회)이 뒤를 이었다. 첫 호남 출신의 집권여당 대표인 이 대표는 “호남과 화해하고 싶다”며 역대 보수 정권이 호남을 홀대한 것을 사과했다. 내년 대선을 앞두고 연대를 통해 호남 민심을 얻기 위한 포석으로 관측된다.

지난 6일 추 대표의 연설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 단어는 ‘경제’(67회)였다. 이어 국민(49회)과 기업(32회), 정부(30회), 민생(27회) 등의 순으로 언급됐다. 추 대표의 연설 제목은 ‘민생경제와 통합의 정치로 신뢰받는 집권 정당이 되겠다’였다. 성장(21회), 가계(20회), 위기(19회), 소득(18회) 등 상당수가 경제 문제를 지적하는 데 사용됐다. 기업이 특히 많이 언급된 것은 경제위기 상황에서 대기업이 책임을 다하지 않는다는 점을 비판하기 위해서였다.

7일 박 위원장의 연설문에서는 ‘국회’가 56회로 압도적으로 많이 사용됐다. 이어 정부(36회), 대통령(35회), 정치(31회) 순으로 이어졌다. 박 위원장은 특히 국회의 역할과 권한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거대 여야의 갈등 속에서 중재자로서의 존재감을 부각시키기 위한 무대로 국회를 많이 언급한 것으로 풀이된다. 박 위원장은 또 박 대통령을 잇따라 지목하며 대립각을 세우고 선명성을 부각시켰다.

허백윤 기자 baikyoon@seoul.co.kr

김진아 기자 jin@seoul.co.kr

송수연 기자 sonsy@seoul.co.kr

2016-09-08 5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