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편리한 광역교통망·싼 임대료... 지식산업센터, 서울 고집할 이유가 없다?

편리한 광역교통망·싼 임대료... 지식산업센터, 서울 고집할 이유가 없다?

입력 2016-09-06 15:37
업데이트 2016-09-06 16: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교통여건이 좋은 지식산업센터에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분양을 앞둔 ‘하남테크노밸리(가칭)’에 수요자들의 기대감이 쏠리고 있다. 하남테크노밸리 조감도.
교통여건이 좋은 지식산업센터에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분양을 앞둔 ‘하남테크노밸리(가칭)’에 수요자들의 기대감이 쏠리고 있다. 하남테크노밸리 조감도.
지식산업센터는 우수한 교통망을 갖출수록 주목 받는다. 지식산업센터의 특성상 외부와의 잦은 업무교류와 물자수송으로 타 지역 간의 왕래가 활발해 어느 곳이든지 빠르게 이동할 수 있는 뛰어난 교통망을 갖춘 단지 일수록 선호도가 높은 것이다.

또 편리한 교통망은 근로자들의 수월한 출퇴근을 도와줘 더욱 인기다. 특히 편리한 광역교통망으로 빠르게 서울로 진입할 수 있는 단지는 서울보다 경쟁력 있는 임대료로 서울 생활권을 누릴 수 있어 주목받는다.

부동산 관계자는 6일 “우수한 교통여건으로 서울과 동일한 생활 여건이 가능한 지식산업센터가 있는데, 임차인들이 굳이 비싼 임대료를 주고 서울에서 사무실을 운영할 필요가 없다”며 “최근 서울과 가까우면서 교통망이 좋은 지식산업센터로 기업들이 몰리는 추세”라고 전했다.

이처럼 교통여건이 좋은 지식산업센터에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분양을 앞둔 ‘하남테크노밸리(가칭)’에 수요자들의 기대감이 쏠리고 있다.

‘하남테크노밸리(가칭)’는 하남시 풍산동 401번지 일원에 연면적 약 27만㎡(예정), 지하2층~지상15층 규모로 들어서며, 지식산업센터와 근린생활시설, 자동차 부품상가로 구성된다. 단지는 강동과 연접하여 강남과 분당까지 빠르게 진입이 가능한 탁월한 입지 여건을 지녔다.

여기에 서울외곽순환도로와 연결되는 상일IC와 경부고속도로, 중부고속도로와 연결되는 하남IC와 인접하여 광역교통망 이용이 유리하다. 수도권 간선급행버스(BRT)와 지하철 5호선 상일동-미사 구간(2018년 예정)과 미사-검단산 구간(2020년 예정), 지하철 9호선 3차구간(2018년 예정)이 개통될 예정이라 교통여건은 더욱 우수해질 전망이다. 또한 단지는 대로변과 2면이 접해있으며 공공택지인 미사강변도시와 연접하고 있어 외부 접근성도 좋다.

우수한 입지로 수요도 풍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인근의 공동주택 3만7천여 세대, 9만4천여명에 달하는 수요를 배후로 두고 있으며, 단지 내 근린생활시설은 대규모 지식산업센터 자체 수요뿐만 아니라 인근 지역 근무자, 내방객, 아파트주민 등 다양한 수요를 확보할 수 있어 저녁과 주말상권 유입에도 유리할 전망이다.

뛰어난 상품도 눈에 띈다. 단지는 인근 지식산업센터에서 보기 힘든 ‘드라이브 인(Drive-in) 시스템’과 ‘도어 투 도어(Door to Door) 시스템’이 적용돼 호실 안까지 차량이 진입할 수 있어 물류 하역의 효율을 극대화했다.

또한 인근 미사강변도시의 지식산업센터 층수 제한인 10층보다 높은 15층 건물높이로 보다 다양한 수요를 반영한 설계를 선보인다. 인근 지식산업센터의 층고는 3.7~5.1m 정도인데 반해 ‘하남테크노밸리(가칭)’은 최고 5.4m로 탁 트인 업무공간을 제공한다. 여기에 바닥하중도 인근 지식산업센터가 ㎡당 0.6~1톤인데 반해 ‘하남테크노밸리(가칭)’은 1.5톤/m²으로 안정성까지 높여 인근 사업지에서는 볼 수 없었던 특화설계들을 선보일 예정이다.

‘하남테크노밸리(가칭)’의 홍보관은 경기도 하남시 풍산동에 마련된다. 올 하반기 공급을 앞두고 있으며 입주는 2019년 상반기 예정이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