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평양국제영화제 16일 개막…“北 주민들, 섹스신 보자 괴성”

평양국제영화제 16일 개막…“北 주민들, 섹스신 보자 괴성”

장은석 기자
입력 2016-09-03 13:59
업데이트 2016-09-03 13:5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외국인 관람하려면 5일 일정 220만원

2014년 9월 17일 북한에서 열린 제14차 평양국제영화제 개막행사. 연합뉴스
2014년 9월 17일 북한에서 열린 제14차 평양국제영화제 개막행사. 연합뉴스
오는 16일 북한에서 2년 마다 열리는 평양국제영화제가 개최된다.

하지만 평양국제영화제는 ‘레드카펫’ 행사가 없고 외국인 관람객의 관람을 제한하는 등 다른 나라의 영화제와 다른점이 많다.

영국 일간 가디언은 1일(현지시간) 제15회 평양 국제영화제(PIFF)의 개막(9월 16일)을 앞두고 지난 영화제를 여러 차례 둘러본 인사의 인터뷰를 통해 ‘기묘한’ 북한 영화제의 이모저모를 소개했다.

중국 ‘고려여행사’의 창조사업 매니저인 비키 모히딘(34·여)은 2008년을 시작으로 모두 4차례 평양영화제를 관람했다. 북한 전문 여행사인 고려여행사는 2002년부터 평양영화제를 공식 후원하고 있는데 영화제 투어 상품도 내놓고 있다.

스코틀랜드 출신 모히딘은 평양 국제영화제가 “다른 영화제와 비교해 꽤 특이한 축제”라고 설명했다.

‘은둔 왕국’에서 열리는 행사인 만큼 평양영화제 전반에 걸쳐 규제가 많다. 영화제 출품작 라인업은 미리 공개되지 않는다. 모히딘은 “우리는 보통 북한에 도착하기 전까지 프로그램을 알지 못한다”고 말했다.

영화제 기간 매일 7개의 극장에서 3편의 영화가 상영되는데 대부분은 북한 관객을 위한 외국 영화로 채워진다.

가디언은 “영화 선정 과정도 베일에 가려 있다”면서 정치적인 내용이나 갈등을 닮은 영화는 엄격히 제한된다고 설명했다.

모히딘은 “북한이 그들의 사상에 도전적인 내용이 닮긴 영화는 보여주지 않으려 하는 점은 분명하다”고 강조했다.

북한이 적으로 여기는 미국이나 한국 영화가 영화제에서 상영된 적은 물론 없다. 대신 인도나 베트남, 태국 등에서 만든 영화들이 관객들을 만났다.

영국 TV 드라마 ‘셜록 홈스’와 같은 드라마나 로맨스, 스포츠 등이 영화제에서 인기 있는 장르다. 북한이 만들어 2007년 프랑스에서 상영됐던 ‘한 여학생의 일기’도 영화제에서 선을 보인 바 있다.

국제 영화제인데도 외국인 관람객들의 참여는 제한된다.

외국인은 1500파운드(약 220만원)를 내고 5일 일정의 평양 여행을 해야 영화제를 즐길 수 있는데 그마저도 10명이라는 인원 제한이 있다.

비싼 돈을 내고 북한에 입성해도 이들이 볼 수 있는 영화는 고작 “한두 편에 불과하다”고 모히딘은 말했다.

주최 측은 외국인들을 위해 영어 자막을 입힌 영화를 거의 내놓지 않는다.

모히딘은 영화에 영어 자막이 없다는 점에서 “(북한 국제영화제가) 전혀 외국인들을 위한 행사가 아니라는 점을 알 수 있다”고 말했다.

북한 주민을 위한 축제라는 지적이 나오는 가운데 이들의 영화 관람 모습엔 어수선한 느낌이 묻어난다.

영화제에서 자리에 앉은 관람객도 있지만 좌석 옆 복도나 바닥에 앉아 영화를 보는 사람들도 많다. 북한 관객들은 영화 도중 ‘야, 아아’ 등의 감탄사를 내뱉는 경우가 많아 다른 나라 관객들보다 더 시끄럽다고 모히딘은 지적했다.

모히딘은 특히 2012년 영화제에서 태국 스릴러 영화 ‘마인드풀니스 앤드 머더’(Mindfulness and Murder)를 보던 북한 관객들에 대한 강렬한 기억을 잊을 수 없다고 회상했다.

그는 “영화에서 두 남자가 밀회를 나누는 관계가 분명해 보였는데 모든 관객이 (그들의) 섹스신을 보자 괴성을 질렀다”고 말했다.

한편 북한의 평양 국제영화제는 영화광이던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1987년 ‘비동맹운동’(주요 강대국 블록에 공식적으로 속하지 않거나 이에 대항하려는 국가들로 이뤄진 국제조직) 국가 간의 문화 교류를 위해 만들었으며 1990년 이후 격년으로 열리고 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