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대학교수 휴직하고 입대한 ‘31세 박 일병’

美 대학교수 휴직하고 입대한 ‘31세 박 일병’

강윤혁 기자
강윤혁 기자
입력 2016-08-31 23:18
업데이트 2016-09-01 01: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스키드모어칼리지 교수 박주원씨

국외 이주자로 병역 의무 없지만 인생 개척 위해 육군 자원입대
“군 복무 시간은 ‘작전타임’ 같아 인생 후반전 어떻게 살지 계획”

이미지 확대
박주원 일병
박주원 일병
미국 뉴욕주 스키드모어칼리지의 대학교수직을 잠시 내려놓고 육군 2사단 17연대에 입대한 박주원(31) 일병의 사연이 군 안팎에서 화제가 되고 있다. 미국 영주권자인 그는 20여년간 외국에 근거지를 두고 살아온 국외 이주자로 병역법상 37세까지 병역 의무가 연기돼 사실상 군 복무를 하지 않을 수 있었지만, 육군에 자원입대해 병역을 이행하고 있다.

병무청은 31일 박 일병과 같이 외국 영주권 취득 또는 질병, 학력 등의 사유로 병역 의무가 없음에도 자진해서 병역을 이행하고 있는 청년들의 사연을 담은 수기집 ‘대한사람 대한으로 2016’을 발간했다.

박 일병은 선교사인 아버지를 따라 여덟 살에 케냐로 건너가 11년간 생활한 후 미국 대학의 전액 장학생으로 진학해 생활비까지 받으며 공부했다. 그는 학사와 석사, 철학 박사 학위를 10년 안에 취득한 후 28세의 나이에 스키드모어칼리지에서 정년이 보장되는 테뉴어 트랙 교수로 초빙됐다. 스키드모어칼리지는 미국 내 4000개가 넘는 대학 중 50위 안에 속하는 명문대로 미국 뉴스위크지가 뉴 아이비대학으로 선정한 사립대학이다.

미국에서 젊은 나이에 명예를 얻고 사회적으로 높은 자리에 올랐던 그가 군 입대라는 선택을 내린 것은 군 복무가 인생을 개척하고 준비할 수 있는 소중한 경험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박 일병은 “대학교수는 사람을 많이 만나고 이해해야 하는 직업”이라며 “군 생활을 통해 습득한 경험들은 전역 후 미국 대학의 교수로 돌아갈 때 아주 유용하게 사용되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군 복무 시간을 아깝게 생각하지 말고 축구나 농구 게임에 있는 ‘하프타임’ 또는 ‘작전타임’으로 생각했으면 좋겠다”며 “군 입대 전까지 ‘전반전’을 열심히 살아왔다면 앞으로 남은 인생의 ‘후반전’은 어떻게 살아야 할지 작전을 세우는 시간”이라고 덧붙였다.

강윤혁 기자 yes@seoul.co.kr
2016-09-01 27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