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글로벌 시대] 덴마크식 점심/이은미 국립민속박물관 학예연구사

[글로벌 시대] 덴마크식 점심/이은미 국립민속박물관 학예연구사

입력 2016-08-28 22:06
업데이트 2016-08-28 23: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은미 국립민속박물관 학예연구사
이은미 국립민속박물관 학예연구사
지난해 3월 덴마크국립박물관에서 객원연구원으로 생활하기 시작하면서 점심시간은 글자 그대로 기대 반 우려 반이었다. 이 나라 직장인의 점심 식사가 어떤 모습일지 궁금하기도 하면서 한편으로 누구와 어떻게 식사를 할지 큰 걱정이었다. 그런데 전혀 낯선 곳에서 새로운 생활을 시작한 필자에게 박물관 동료들은 기꺼이 자신들의 점심 식사에 초대해 주었다.

덴마크국립박물관만의 전통인지는 모르겠지만, 부서 직원들은 대부분 함께 모여 점심을 먹는다. 평소 회의실이자 자료실로 쓰이는 공간에 모여 커다란 탁자에 둘러앉아 함께 식사를 한다. 돌아가면서 당번을 정해 식탁을 차리고 모두가 마실 수 있는 커피와 차를 준비하며, 식사가 끝나면 식탁을 정리한다. 박물관에서 40년을 넘게 일한 원로급이라 해도 예외는 없다.

그리고 대부분은 도시락을 준비해 온다. 음식은 소박하다. 통밀로 만들어 거친 덴마크 식빵에 치즈나 햄 등을 얹어 먹는 ‘오픈 샌드위치’. 그리고 샐러드 또는 오이, 피망, 사과 등 과일이나 채소를 통째로 가져와서 함께 먹기도 한다. 도시락을 싸오지 않는다면 직원 식당이나 근처 오픈샌드위치 가게에서 비슷한 음식을 사 와서 같이 둘러앉아 먹는다. 사무실 밖 식당으로 나가 먹는 점심은 절대 없다. 처음엔 ‘아, 여긴 먹는 낙이라곤 없는 곳이군’ 하고 속으로 투덜대기도 했다.

이런 점심에 익숙해지다 보니 점차 식사는 맛있는 음식을 즐기는 시간이라기보다 대화를 즐기는 시간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각자 사무실에서 일을 하다가 점심시간이야말로 얼굴을 마주하는 시간이다. 물론 사무실 방문도 항상 열려 있지만…. 때로는 업무 이야기, 때로는 일상의 소소한 이야기, 때로는 직장이나 사회의 변화에 대한 우려를 토로하기도 한다. 그렇지만 대화는 격의 없고 여유 있고 즐거운 분위기이다. 누구 한 사람의 이야기를 일방적으로 듣는 자리가 아니다.

소박한 음식을 함께 먹으며 대화와 더불어 즐거움을 나누는 점심시간에 느꼈던 이러한 경험은 얼마 전 찾아간 식당에서도 이어졌다. 비싼 물가 탓에 외식이 쉽지 않은 덴마크에서 가족의 생일을 축하하고자 마련한 자리였다. 동료로부터 소개받은 식당은 덴마크 안팎에서 화제가 되고 있는 최신 트렌드 식당 중 하나였다. 예약부터가 쉽지 않았다. 이 특별한 식당에서 음식은 지역에서 나는 재료를 사용한 소박한 음식. 25명의 손님이 모두 하나의 테이블에 둘러앉아 마치 가정에서 밥을 먹듯이 큰 접시에 놓인 음식을 함께 덜어 먹는다. 같이 음식을 나눠 먹는 가운데 자연스럽게 옆자리의 처음 만난 사람들과 이야기가 오가며 서로 친해지기도 한다. 알고 보니 옆자리에 앉은 덴마크 사람은 유명한 가수라고 했지만, 그런 것은 상관없이 모두가 격의 없이 함께 어울리는 분위기였다. 가장 앞서가는 트렌드라지만 오히려 덴마크에서 경험한 일상의 점심시간과 닮아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점심 식사는 피상적으로만 알고 있었던 이 나라 사회와 문화의 실상을 알 기회가 됐다. 개인의 자유와 독립이라는 가치만 중요시하는 것이 아니라 공동체의 가치도 중요시한다는 것을 깨달았다. 직장에서도, 가정에서도 마찬가지였다. 혼자 외롭게 점심 식사를 해야 하는 건 아닐까 하는 우려는 빗나갔다. 이들에게 함께 모여 나누는 식사는 남녀노소, 직위를 불문하고 서로 다른 개인과 어울리고 화합을 이루는 윤활유 역할을 하는 시간이었다. 또 나와 공동체의 상보적 관계가 건강하게 작동하고 있음을 확인하는 자리였다.
2016-08-29 3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