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위안부 합의 거든 與에 누리꾼 공분···“상처치유 하지 말란거냐”

한일 위안부 합의 거든 與에 누리꾼 공분···“상처치유 하지 말란거냐”

오세진 기자
입력 2016-08-10 21:33
업데이트 2016-08-10 21:3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수요집회 참가자들, 한일 위안부 합의 내용 비판
수요집회 참가자들, 한일 위안부 합의 내용 비판 10일 서울 종로구 옛 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린 ‘제4차 세계 일본군 위안부 기림일 세계연대집회 및 1243차 일본군 위안부 문제해결을 위한 정기 수요집회’참석자들이 위안부 문제 해결을 촉구하는 평화의 팻말을 들고 있다.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세계 일본군 위안부 기림일’(8월 14일) 나흘 전인 10일 열린 ‘수요집회’에서 집회 참가자들이 ‘한·일 위안부 합의’ 무효화를 외치자 여당인 새누리당이 견제에 나섰다. 새누리당은 “이제 와서 (한·일 위안부 합의를) 무효화하고 재협상하라는 것은 그분들에 대한 상처 치유와 명예 회복을 하지 말라는 것과 다름 아니다”라는 입장을 밝혔다. 이에 누리꾼들은 강한 분노를 드러냈다.

김정재 원내대변인은 이날 서면 브리핑을 통해 “한·일 합의 후속조치로 지난 7월 28일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지원재단인 ‘화해·치유재단’이 출범한 만큼 빠른 시일 내에 피해자들을 위한 직접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밝혔다.

김 대변인은 서면에서 “일부 단체와 야당이 지난해 12월 28일 타결된 한·일 양국간 위안부 합의에 대한 재협상을 또 다시 요구하고 있다”면서 “이 합의는 국제사회에 위안부 문제를 지속적으로 제기한 우리 정부의 노력과 국제사회 양심세력들의 성원이 큰 도움이 되었다”고 밝혔다.

지난해 한·일 양국은 피해자들을 돕기 위한 ‘화해·치유재단’을 한국이 만들고 일본이 이 재단에 출연금 10억엔(한화 약 100억원)을 지급한다는 내용 등을 담은 합의 선언문을 발표했다.

양국은 위안부 문제가 이 합의를 통해 ‘최종적, 불가역적으로 해결된 것임을 양국 정부가 확인’했다는 문구를 선언문에 넣었다. 더 나아가 한국 정부는 주한 일본대사관 앞에 있는 위안부 평화비(‘소녀상’)에 대해 ‘가능한 대응방향에 대해 관련단체와의 협의 등을 통해 적절히 해결되도록 노력’하겠다고까지 약속했다. 시민들의 모금으로 만들어진 소녀상을 정부가 옮기겠다고 충분히 해석될 수 있는 문구다.

김 대변인은 “국제사회는 (한·일) 위안부 합의를 외교적, 역사적으로 매우 진일보한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면서 “일본 정부는 위안부 합의의 성실한 이행만이 과거 역사를 극복하고 미래지향적 한일관계의 초석을 놓는 길임을 명심해야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과 이들을 돕는 시민사회단체, 시민들은 한·일 위안부 합의가 진정한 위안부 문제 해결책이 될 수 없다고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이날 1243차 수요집회에 참석한 김복동(90) 할머니는 “한국 정부는 왜 싫다는 일을 자꾸 하는지 모르겠다. 자신들이 (위안부로) 갔다 온 것도 아니고 얼마나 할머니들을 무시하면 그러겠는가”라면서 “일본과 속닥속닥 해서 합의했다”고 정부를 비판했다.

이날 집회에는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 활동가들과 노동단체, 학생, 이정미 정의당 부대표 등 2300여명(경찰 추산)이 참여해서 한 목소리로 한·일 위안부 합의 무효를 주장했다. 또 정부가 주도해 출범한 ‘화해·치유 재단’ 운영을 중단할 것을 요구했다.

누리꾼들도 새누리당의 발표 내용을 강하게 비판했다. 네이버 아이디 aqua****는 “아픈 사람은 하나도 (상처가) 안 나았는데 다치지도 않은 사람들이 ‘난 다 나았다’라고 말하는 꼴”이라고 성토했다.

네이버 아이디 aspl****는 “왜 (정부) 마음대로 일본하고 협상하고 결과를 내냐”면서 “(피해자) 할머니들이 물질적인 것을 바란 것도 아닌데, 그저 진심어린 사과 한마디 듣고 싶으시다는데···할머니들은 일본보다 우리나라 정부가 더 미울거 같다”고 말했다.

네이버 아이디 tpfu****는 “당신들(정부, 여당)의 어머니 일이라고 생각해보면 뭐가 중한지 바로 알텐데”라는 의견을 남겼고, 네이버 아이디 shdo****는 “니들(정부, 여당) 행동이 (위안부 피해) 상처 치유 하지 말라는 것과 다름없다”고 쏘아붙였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