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리 방문 때 일부 격앙된 행동 유감, 폭력시위 변질…투쟁위 의도와 달라”

“총리 방문 때 일부 격앙된 행동 유감, 폭력시위 변질…투쟁위 의도와 달라”

한찬규 기자
입력 2016-07-18 02:02
업데이트 2016-07-18 02: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성주군민, 투쟁위로 전환…“학생 등교 거부 막아달라”

사드의 경북 성주 배치 결정과 관련, 성주 군민들은 17일 5일째 촛불집회를 이어갔다. 이날 오후 군민 1000여명이 참가한 가운데 성주군청 앞마당에서 열린 촛불집회에는 대통령과 국방부 장관 등을 비난하는 목소리도 곳곳에서 터져나왔다.

군민들은 또 황교안 국무총리에게 계란과 물병을 던진 사건에 대한 경찰의 수사 착수와 관련해 반발하면서 사태 추이에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다. 이에 앞서 성주군민들은 지난 16일 기존 범군민 비상대책위원회를 ‘성주 사드배치 저지 투쟁위원회’로 확대 개편했다. 투쟁위는 지역 각계각층 대표와 주민 200여명으로 구성됐다. 이재복 비상대책위원장과 정영길 경북도위원·백철현 군의원·김안수 경북도친환경농업인회장 등 4명이 공동위원장을 맡았다.

투쟁위는 ‘황 총리 방문 때 폭력시위와 관련한 입장’이란 성명을 발표하며 “(지난 15일) 총리 방문 때 일부 주민들의 격앙된 행동은 유감스럽다”며 “설명회를 원활히 진행하려 했지만 갑작스럽게 폭력시위로 변질된 점은 투쟁위의 의도와는 상반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촛불집회와 항의 방문 때 질서를 유지하며 성주군민의 마음을 제대로 전달한 점이 이를 뒷받침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투쟁위는 외부인의 개입 의혹에 대해서는 “누구인지를 확인하지 못했고 알 수도 없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이들은 국회 대정부질문이 있을 예정인 19~20일에는 국회 앞에서 1인 시위를 벌이고, 오는 21일 2000여명이 상경해 서울 광화문 등에서 항의 집회를 열 계획이다.

이 공동위원장은 “왜 성주가 사드 배치의 최적지인지를 정부가 군민들에게 설명도 하지 않고 있다”면서 “군민의 3분의2가 사는 성주읍에서 불과 1.5㎞ 떨어진 곳에 사드를 배치하고 해가 없다고 하는 것은 군민들을 무시하는 처사”라고 꼬집었다. 이어 “괌 사드 기지를 방문할 생각도 없으며 간다고 해도 보고 무엇을 알겠느냐”고 했다.

한편 투쟁위는 학부모에게 초·중·고교 학생 등교 거부와 조퇴를 막아 달라고 요청했다.

성주 한찬규 기자 cghan@seoul.co.kr
2016-07-18 4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