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인양은 언제쯤···기상 악화로 다음달 11일 인양작업 재개

세월호 인양은 언제쯤···기상 악화로 다음달 11일 인양작업 재개

오세진 기자
입력 2016-06-27 16:54
업데이트 2016-06-27 16:5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지난달 26일 오전 전남 진도군 세월호 침몰 해역에 정박 중인 달리하오 바지에서 중국 인양업체 상하이샐비지 작업자들이 세월호 선체를 들어올려 밑에 집어 넣을 리프트빔을 수중에 투하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달 26일 오전 전남 진도군 세월호 침몰 해역에 정박 중인 달리하오 바지에서 중국 인양업체 상하이샐비지 작업자들이 세월호 선체를 들어올려 밑에 집어 넣을 리프트빔을 수중에 투하하고 있다. 연합뉴스
세월호 선수(뱃머리) 들기 작업이 한차례 중단된 이후 기상 악화로 인해 쉽게 재개되지 못하고 있다.

해양수산부는 오는 28일 재개할 예정이던 세월호 선수 들기(리프팅빔 삽입 포함) 작업이 높은 파고와 바람 등 기상 악화로 불가피하게 다음 소조기(7월 11일쯤)로 2주 연기됐다고 27일 밝혔다.

해수부에 따르면 현재 추진 중인 선수 들기는 난도가 높은 공정으로, 안전을 위해 파고가 높을 때는 추진하지 않고 파고 1m 이내에서만 할 수 있다. 그러나 인양업체인 상하이 샐비지컨소시엄(SSC)이 기상정보를 받는 호주의 해양기상예보 전문업체 OWS에 따르면 이번 소조기(6월 28∼7월 3일)에 파고가 1m 이내인 날이 없는 것으로 예보됐다.

OWS는 전날 기준으로 날짜별 최대 파고를 6월 28∼29일 1.7m, 6월 30일∼7월 1일 1.8m, 7월 2일 3.2m, 7월 3일 3.7m로 예보한 상태다. 다음달 4일부터는 다시 유속이 빨라지는 대조기가 이어져 작업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상하이샐비지는 우선 추가적인 선체 파손을 막기 위해 앞선 선수 들기 공정에서 손상된 선체 부위에 특수 보강재를 설치하는 작업을 이날까지 완료하기로 했다. 빠른 유속 때문에 손상될 우려가 있어 임시로 제거한 고무폰툰(부력 확보 방안)은 최종적으로 선수 들기 날짜가 정해지면 다시 설치할 계획이다.

선수 들기가 재개되면 2∼3일에 걸쳐 리프팅빔 삽입을 포함해 작업을 완료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해수부는 밝혔다.

앞서 상하이샐비지는 지난 12일 오후 2시부터 세월호 선수 들기 작업을 시작해 뱃머리를 2.2도(높이 약 4m)가량 들어 올리는 데 성공했으나 13일 새벽 강한 너울이 밀려오는 바람에 하루 만에 공정을 중단했다.

이후에도 기상 악조건이 이어지면서 작업 재개 시점이 24일에서 28일로 미뤄졌고 이번에 다시 다음달 11일로 연기됐다. 선수 들기 일정이 늦춰짐에 따라 당초 7월 말을 목표로 했던 선체 인양은 오는 8월 이후로 지연된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