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EU 창설 6개국 외무장관 “영국, EU 탈퇴 절차 속히 밟아라”

EU 창설 6개국 외무장관 “영국, EU 탈퇴 절차 속히 밟아라”

장은석 기자
입력 2016-06-25 23:24
업데이트 2016-06-25 23: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불확실성 길어져 정치 경제 후폭풍 커지길 원치 않아”

EU 창설 6개국 외무장관과 함께 기자회견을 하는 슈타인마이어 독일 외무장관(왼쪽 3번째) 사진=AFP 연합뉴스
EU 창설 6개국 외무장관과 함께 기자회견을 하는 슈타인마이어 독일 외무장관(왼쪽 3번째) 사진=AFP 연합뉴스
독일 외무 “EU, 브렉시트 충격 극복할 수 있다

유럽연합(EU)의 창설을 주도했던 독일과 프랑스, 이탈리아 등 6개국 외무장관들이 25일(현지시간) 독일 베를린에서 모여 영국이 국민투표로 결정한 EU 탈퇴(브렉시트) 이후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6개국 외무장관들은 영국에 “브렉시트 절차를 속히 이행하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회의를 마치고 나서 개최한 공동 기자회견에서 브렉시트로 생긴 금융 혼란과 정치적 불안정이 장기화하는 것을 원치 않는다며 이렇게 말했다.

다른 회원국들을 향해 “EU의 역할에 불만을 갖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며 “이를 매우 진지하게 받아들이며 모든 EU 시민을 위해 EU를 개선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독일의 프랑크-발터 슈타인마이어 장관은 브렉시트 협상이 “가능한 한 속히 시작돼야 한다”면서도 “유럽 차원의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는 “유럽인들에게 유럽의 중요성을 보여줄 필요가 있다”면서 “그 뿐만 아니라 EU가 제 할 일을 수행할 수 있음도 알려줘야 한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영국인의 결정을 이해하며 존중한다”면서 영국이 탈퇴 조건을 EU와 논의하는 데 책임 있는 자세를 보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프랑스의 장 마르크 에로 외무장관도 “긴급성이 요구된다”면서 “불확실성이 길어져 금융 시장의 혼란과 정치적 후폭풍이 지속되길 원치 않는다”고 밝혔다.

에로 외무장관은 유럽 국가들이 독재정권을 무너뜨리고 민주주의를 확립했다고 환기하면서 “2차 세계 대전 이후 무역을 통해 분쟁을 막아 유럽을 통합한다는 EU 창립 정신을 되새기길 바란다”고 남은 27개 EU 회원국에 촉구했다.

또 브렉시트 절차를 빨리 이행하기 위해 영국 하루 빨리 새 총리를 임명하기 바란다고 덧붙였다.

룩셈부르크의 쟝 아셀보른 외무장관도 “탈퇴 협상이 사활을 건 쥐와 고양이의 게임은 아니다”라며 “영국이 탈퇴 규정인 EU 헌장 50조 규정에 따르면 된다”고 말했다.

아셀보른 장관은 “탈퇴는 분명한 것”이라며 “영국인들이 분명히 밝혔고, 우리는 그들의 결정을 따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영국이 EU에서 탈퇴하면 EU 비회원국이자 교역 협상에서 등장하는 이른바 ‘제 3의 국가’로 불리겠지만 “부정적인 의미는 전혀 없다”고 덧붙였다.

이들 외교장관은 유럽이 현재 닥친 이주민 문제와 실업, 프랑스 벨기에 테러 이후 제기된 안보 분야 등에서 해야 할 일이 더 많다는 데 동의했다고 말했다.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는 이날 베를린 근교 포츠담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솔직히 말해 (브렉시트를 공식화하는 것은) 오래 걸리지 않아야 한다”면서도 재촉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브렉시트에 대한 논의가 불유쾌한 방식으로 이뤄질 필요는 없다. 적절하게 이뤄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날 모인 외무장관들은 EU의 전신인 유럽경제공동체(EEC)를 세웠던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벨기에, 네덜란드, 룩셈부르크 등 6개국 출신으로, 이들 국가는 1957년부터 유럽 블록경제의 초석을 함께 닦았다는 점에서 1973년 뒤늦게 가입한 영국과는 달리 EU의 핵심국가로 불린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