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리 키즈’ 세리 넘어 전설 되다

‘세리 키즈’ 세리 넘어 전설 되다

심현희 기자
입력 2016-06-09 23:00
업데이트 2016-06-10 02:0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박인비, 위민스 챔피언십 1R 뒤 ‘명예의전당’ 입회

‘골프 여제’ 박인비(28·KB금융)가 미국여자프로골프(LPGA) 투어 ‘명예의전당’에 입회하면서 살아 있는 전설로 거듭난다.

이미지 확대
박인비. KB금융그룹 제공
박인비. KB금융그룹 제공
박인비는 10일 미국 워싱턴주 시애틀 근처의 사할리 골프장(파73·6668야드)에서 열리는 LPGA 투어 시즌 두 번째 메이저대회인 KPMG 위민스 PGA 챔피언십(총상금 350만 달러) 1라운드를 마치면 ‘낙타가 바늘구멍 지나가는 것보다 어렵다’는 명예의전당에 이름을 올린다. 지난해 이미 명예의전당 입회에 필요한 포인트(27점)를 채운 박인비는 위민스 PGA 챔피언십 1라운드를 소화하면 전당 마지막 입회 요건인 ‘10년 선수 생활’(한 시즌 최소 10개 대회 출전)을 충족시킨다.

박인비는 9일 취재진과 만나 “이번 대회는 내겐 굉장히 의미 있는 대회”라며 “최선을 다해 경기를 치르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이어 “어릴 때부터 골프를 치면서 명예의전당에 들어가는 것을 자연스럽게 꿈꿔 왔다. 영광스럽다”며 “내가 어릴 때 그랬던 것처럼 나의 모습을 보면서 많은 어린 골프 선수가 꿈을 키울 수 있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1950년 출범한 LPGA 명예의전당은 66년 역사 동안 불과 24명에게만 그 영광을 허락했다. 한국 선수로나 아시아 선수로나 박세리에 이어 두 번째다. 신규 입회자 역시 2007년 박세리 이후 박인비가 처음이다.

명예의전당 문턱은 웬만한 선수가 넘보기 힘들 정도로 높다. 대회 우승 한 차례에 1점씩, 메이저대회 우승에 2점씩 부여하는 포인트는 27점을 쌓아야 하고, 여기에 반드시 메이저대회 우승이나 베어트로피(최저타수상), 올해의선수 타이틀 하나를 갖고 있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10년 동안 투어에서 활동한 자만이 헌액 자격을 얻는다.

박인비는 2007년 LPGA 투어에 입성했다. 그는 데뷔 2년 만인 2008년 6월 US여자오픈에서 대회 최연소(19년 11개월 6일)로 우승을 차지하며 한국 선수로는 다섯 번째로 LPGA 메이저 우승 타이틀을 획득했다. 그 뒤 박인비는 메이저대회 7승을 포함해 LPGA 통산 17승을 기록하며 세계 여자골프계에 ‘박인비 시대’를 화려하게 열었다.

2012년에는 베어트로피와 상금왕을 차지했고, 한국인 최초로 올해의선수를 수상했던 2013년에는 상금왕, 미국골프기자협회(GWAA) 올해의 여자 선수 타이틀까지 휩쓸었다. 지난해 박인비는 LPGA 역대 일곱 번째, 한국인으로는 최초로 커리어 그랜드슬램을 달성하면서 안니카 메이저 어워드와 베어트로피를 받았다.

한편 박인비는 리우올림픽 출전과 관련해서는 “올림픽 전에 컨디션이 살아나기를 바라고 있고 그럴 것으로 믿는다”면서도 “올림픽은 나라를 대표해 나가는 것인데 내 컨디션이 좋지 않다면 더 좋은 성적을 낼 수 있는 선수가 나가는 것이 맞다”며 양보할 수도 있다는 뜻을 밝혔다.

심현희 기자 macduck@seoul.co.kr
2016-06-10 27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