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與 혁신비대위원장, ‘화합·개혁형인사’로…금주 발표할듯

與 혁신비대위원장, ‘화합·개혁형인사’로…금주 발표할듯

입력 2016-05-25 10:59
업데이트 2016-05-25 10:5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박상증·김희옥·김진현·김형오 등 거론

새누리당 정진석 원내대표와 김무성 전 대표, 최경환 의원이 3자 회동에서 총선 참패 후 당 재건을 위해 혁신형 비상대책위원회를 꾸리기로 한 가운데 위원장 후보로 당내 화합과 개혁을 이끌 수 있는 인사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특히 총선 과정과 이후 당내 계파갈등으로 돌아선 국민의 마음을 잡으려면 그간 정치에 관여해왔던 인사보다는 참신하고 파격적인 인물을 내세우지 않겠느냐는 관측이 나온다.

이번 주 내에 비대위원장 인선 결과 발표가 이뤄질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정 원내대표와 김 전 대표, 최 의원 간 전날 3자 회동에서도 비대위원장을 누가 맡을지를 놓고 5∼6명의 이름이 거론됐다고 한다.

일찌감치 비대위원장 후보군으로 거론됐던 강창희·김형오 전 국회의장과 강재섭 전 대표부터 박상증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이사장, 김희옥 전 정부공직자윤리위원장, 김진현 전 과학기술처장관 등의 이름이 당안팎에서는 주요후보로 오르내린다.

여기에 김동연 아주대 총장과 이헌재 전 경제부총리도 영입이 추진됐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가운데 사실상 당내인사인 강·김 전 국회의장이나 강 전 대표보다는 박상증 이사장이나 김희옥 전 위원장, 김진현 전 장관처럼 외부인사가 더 유력시된다.

당내 핵심관계자는 25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당내로 분류되는 인사보다는 새로 거론되는 외부인사 쪽을 더 고려하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위원장 인선 발표는 이번 주는 안 넘길 가능성이 크다”며 “세 분이 잘 합의해 조만간 발표하실 것”이라고 덧붙였다.

친박(친박근혜)계에서 추천한 것으로 알려진 박상증 이사장은 참여연대 공동대표와 아름다운 재단 이사장 등을 지냈다.

현실 정치에 뛰어든 적은 없지만 박 대통령 당선 이후 대통령직 인수위원장 후보나 첫 총리 후보로 거론된 바 있다.

역시 친박계에서 후보로 거론된 김희옥 전 위원장은 검사 출신으로 법무부 차관과 헌법재판소 재판관, 동국대 총장 등을 역임했다. 김 전 위원장 역시 정치권에 발을 담근 적은 없지만 박근혜 정부의 법무부 장관이나 총리 후보군 등에 꾸준히 이름을 올린 명망가다.

언론인 출신으로 과학기술처 장관, 서울시립대 총장 등을 지낸 김진현 전 장관은 김무성 전 대표 측에서 추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헌재 전 부총리는 IMF 당시 김대중 정부에서 경제정책과 구조조정을 책임진 위기관리 전문가로 신망이 높고, 행정고시 출신으로 박근혜 정부 초대 국무조정실장을 지낸 김동연 총장은 상고 출신으로 장관직 까지 오른 ‘흙수저 성공 신화’의 상징으로 꼽힌다.

정 원내대표 등은 친박과 비박이 모두 동의하는 외부 인사를 위원장으로 영입하기로 뜻을 모았지만, 걸림돌은 여전히 남아 있다.

우선 위원장 후보로 거론되는 인사들이 영입 제안에 응할지 여부가 미지수이다.

김 전 국회의장의 경우 정진석 원내대표가 취임하기 이전부터 비대위원장 후보에 거론됐지만 “정치 현장을 떠난 지 오래됐고, 그 자리를 맡는 것이 적절하지 않다”며 공개적으로 고사한 바 있다.

김진현 전 장관도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비대위원장 후보로 거론되는 데 대해 “금시초문”이라며 “저는 일생 정치에 관여한 적이 없는 사람”이라고 말했다.

이헌재 전 부총리와 김동연 총장도 비대위원장직을 일단 고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총선이후 계속 표류해온 새누리당을 수습하기 위해 친박과 비박이 어렵게 합의점을 찾은 만큼 정 원내대표 등이 삼고초려를 해서라도 위원장 영입에 힘을 쏟을 것으로 보인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