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세 최연소 포뮬러원 우승이 불러온 메르세데스의 내분

18세 최연소 포뮬러원 우승이 불러온 메르세데스의 내분

임병선 기자
입력 2016-05-16 13:55
업데이트 2016-05-16 17: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몽트멜로. AFP 연합뉴스
몽트멜로. AFP 연합뉴스
세계 최고의 자동차 경주대회인 포뮬러원(F1) 사상 최연소 우승자를 배출한 것은 두 실력자가 그려낸 ‘자멸 드라마’ 덕분이었다. 소속사 메르세데스는 사고 책임을 둘러싸고 내분 조짐까지 보이고 있다.

 네덜란드의 18세 유망주 막스 페르스타펜(레드불)이 지난 15일(현지시간) 바르셀로나 근처 몽트멜로의 ‘서킷 드 카탈루냐’에서 열린 포뮬러원의 시즌 다섯 번째 스페인 그랑프리에서 4.655㎞의 서킷 66바퀴(307.104㎞)를 1시간41분40초017 만에 가장 먼저 통과했다. 37세 노장 키미 라이코넨(페라리·핀란드)이 0.616초 차로 2위에 올랐고, 제바스티안 페텔(페라리·독일)은 페르스타펜보다 5초581 뒤져 3위를 차지했다.
 
 1990년대 F1 선수로 베네통 그랑프리에서 3위를 차지한 것이 최고의 성적이어던 요스 페르스타펜의 아들인 막스는 태어난 지 18년227일 만에 우승을 차지했다. 페텔이 2008년에 달성한 21년73일을 무려 3년 가까이 앞당기며 대회 최연소 우승 기록을 다시 썼다. 네덜란드 선수가 F1 우승을 차지한 것도 그가 처음이다.

  그러나 막스의 우승에는 행운이 상당히 작용했다. 메르세데스에서 한솥밥을 먹으며 올 시즌 양강 구도를 형성한 니코 로스베르크(독일)와 루이스 해밀턴(영국)이 첫 바퀴에서 치열한 신경전 끝에 충돌하며 자멸했기 때문이었다. 해밀턴이 전날 폴 포지션 결정을 위한 레이스에서 압도적 1위를 차지한 것에 어울리게 기품있게 출발한 반면, 로스베르크가 얼마 안 있어 따라잡고 첫 곡선 구간에서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끼어들어 추월했다.
 
 세 번째 곡선 구간을 뒤늦게 빠져나온 해밀턴이 갑자기 안쪽으로 끼어들었고 로스베르크도 밀려나지 않고 버텼다. 곧 해밀턴의 차량은 잔디밭으로 향한 뒤 빙글 돌아 로스베르크의 차량과 충돌했다. 두 차량 모두 트랙을 벗어나 건너편 자갈밭에서 멈춰섰다. 레이스 스튜어드들이 현장을 조사했지만 더 이상 어떤 액션도 취하지 않았다.
 
 메르세데스의 니키 라우다 비경영 회장은 이 사고가 “멍청한 짓”이며 해밀턴이 너무 공격적이었다고 비난했다.그러나 F1 총책인 토토 볼프는 “분석하기에 아주 어려운 상황, 아주 어려운 사고”라고 어느 쪽 손도 들어주기 어렵다고 반박했다. 그는 이어 “루이스는 너무 속도를 냈고 니코는 문을 잠갔다. 루이스는 안쪽에 많은 틈이 있었는데도 밀어붙여 차에 대한 통제력을 잃었다. 이건 분명 한 쪽에 100%의 책임이 있고 다른 쪽에는 0%라고 말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앞선 네 차례 대회 모두 우승한 로스베르크가 100포인트로 여전히 선두다. 라이코넨과 해밀턴이 각각 61포인트와 57포인트로 뒤쫓고 있다. 페르스타펜은 이날 25포인트를 쌓아 38포인트로 6위다.
 
 팀 동료 대니얼 리카르도의 도움도 적지 않았다. 호주 출신인 그는 공격적인 레이싱으로 중후반 경쟁자들의 간담을 서늘케 하며 막스의 우승에 주춧돌을 깔았다. 페텔은 무선 교신을 통해 “내가 피하지 않았다면 내 차와 충돌할 뻔했다”며 “지금 우리가 하고 있는 게 레이싱이냐 탁구(핑퐁)냐”고 소리를 질렀다.

 임병선 선임기자 bsn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