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일보 성장 이끈 방우영 상임고문 별세

조선일보 성장 이끈 방우영 상임고문 별세

홍지민 기자
홍지민 기자
입력 2016-05-08 22:58
업데이트 2016-05-09 00:1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조선일보의 성장기를 주도한 방우영 상임고문이 8일 오전 11시 7분 숙환으로 별세했다. 88세.

이미지 확대
박삼구(왼쪽) 금호아시아나 그룹 회장이 8일 오후 서울 신촌세브란스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된 방우영 조선일보 상임고문의 빈소에서 조문하고 있다.
박삼구(왼쪽) 금호아시아나 그룹 회장이 8일 오후 서울 신촌세브란스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된 방우영 조선일보 상임고문의 빈소에서 조문하고 있다.
1928년 평안북도 정주에서 태어난 고인은 일제 강점기에 제9대 조선일보 사장을 지낸 방응모 선생의 손자이자 방일영 전 회장의 동생이다. 방응모 선생의 친형 방응곤씨의 차남이었던 아버지(방재윤)가 숙부의 양자로 가며 형과 함께 방응모 선생의 양손자가 됐다. 경성 경신고보, 연희전문 상과를 나온 고인은 1952년 조선일보에 입사해 사회부, 경제부 기자 등으로 일했다. 6·25전쟁 당시 조부가 납북되고 사옥마저 불타버리자 형과 함께 회사 재건에 주력한 고인은 1964년 형이 회장에 임명될 때 대표이사로 취임했으며 1970년 사장직을 맡아 1993년 조카 방상훈 현 대표이사 사장에게 자리를 물려줄 때까지 조선일보의 성장을 주도했다. 이 밖에 한국언론연구원(현 한국언론진흥재단) 이사장, 중앙문화학원(중앙대) 이사장, 연세대 이사장, 대한골프협회 회장, 연세대 동문회장 등을 역임했다.

고인은 조선일보를 국내 신문업계 1위로 끌어올렸으며 편집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편집이 좋은 신문’을 만들기 위해 노력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2006년 9월에는 조부의 22주기 추모 행사를 마치고 귀가하다가 조선일보의 정치적 성향에 불만을 품은 사람들로 추정되는 괴한 두 명에게 피습당하기도 했다. 저서로는 ‘조선일보와 45년’, ‘나는 아침이 두려웠다’, 미수(米壽) 문집 ‘신문인 방우영’ 등이 있다. 빈소는 서울 신촌세브란스병원 장례식장에 차려졌다. 발인은 12일 오전 8시. 장지는 경기 의정부 가영동 선영.

홍지민 기자 icarus@seoul.co.kr

2016-05-09 27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