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까치 마음/황수정 논설위원

[길섶에서] 까치 마음/황수정 논설위원

황수정 기자
황수정 기자
입력 2016-04-15 18:02
업데이트 2016-04-15 18: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속도의 시절이다. 허름한 담벼락에라도 첫 꽃을 터뜨렸으면 주인공, 간발의 차로 쏟아지게 피어 봤자 들러리. 매정한 사정을 봄꽃들이 알고 있으니 죄다 속도전이다. 어제 피었나 싶더니 힘없는 봄바람이 시비만 걸어도 오늘은 제 풀에 항복, 무더기 낙하. 목련, 벚꽃, 안 그런 꽃이 없다. 심지 없는 봄꽃들.

봄 흥(興)과 봄 근심 사이를 헤맸다는 옛 시인들 마음을 알겠다. 팥죽 끓는 마음은 계절 탓이다. 짧아 감질나는 봄꽃의 생애 탓, 초목들 태깔에 변화무쌍하라 부추기는 봄볕 탓이다.

집 앞마당은 까치들 차지다. 뭘 기다리는지 온종일 뱅뱅거린다. 은행나무, 메타세쿼이아 꼭대기에 옴팍하게 들앉은 까치집의 주인장들. 요란하게 꽃 터지는 나무에는 아예 둥지 틀지 않는 뚝심의 주인공들. 엄동에도 마당을 떠난 적 없는 텃새한테 꽃나무는 일없다. 제비가 강남을 다녀왔든 말든 남의 일이다. 짙어질 잎만 기다린다. 둥지 품어 줄 무성한 잎. 제자리 지키는 침묵으로도 득의의 삶이다.

일상을 지키는 일이 버거워 온탕냉탕 조울증, 봄바람에 팔랑귀. 내 마음, 까치 마음을 몇 번이나 저울에 올려 보는 봄날.

황수정 논설위원 sjh@seoul.co.kr
2016-04-16 23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