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겨레말] 낫 놓고 ‘기윽’ 자도 모른다

[우리말 겨레말] 낫 놓고 ‘기윽’ 자도 모른다

이경우 기자
입력 2016-03-31 19:40
업데이트 2016-04-01 18:0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기윽이 아니라 기역이다. 너무 당연한 이야기? 그러나 다른 자음 이름들과 비교하면 고개를 갸웃하게 된다. 니은, 디귿, 리을, 미음, 비읍, 시옷, 이응, 지읒, 치읓, 키읔, 티읕, 피읖, 히읗. 거의 해당 자음에 가 결합된 형태다. 예외는 기역, 디귿, 시옷 딱 세 가지다.

이렇게 된 데는 조선 중종 때 최세진의 역할이 컸다. 최세진은 역관이었다. 중종실록은 최세진에 대해 이렇게 기록해 놓았다. “어려서부터 학문에 힘썼으며 한어(漢語)에 정통했다. 과거에 급제해서는 사대(事大)에 관한 이문(吏文)을 모두 그가 맡아 보았다. 발탁되어 벼슬이 2()에 이르렀다. 저서인 언해효경’, ‘훈몽자회’, ‘이문집람이 세상에 널리 퍼졌다.” ‘한어는 중국어, ‘이문은 조선 시대 중국과 주고받던 문서에 쓰던 특수한 관용 공문의 용어나 문체를 말한다.

최세진은 이처럼 인정받았고 뛰어난 능력을 발휘했다. 한어 교재를 번역하면서 한글에 대해 깊이 있는 식견을 갖게 됐다. 그가 남긴 훈몽자회’, ‘번역노걸대’, ‘번역박통사같은 책들에는 당시 쓰이던 어휘가 풍부하게 기록돼 있다.

최세진은 훈몽자회에서 한글 자음과 모음의 이름을 정리했다. 그가 역관이 아니라 국어학자로 알려진 이유일 것이다. ‘훈몽자회는 본래 어린이용 한자 학습서였다. 자습서 성격이었다. 그렇다 보니 먼저 한글을 알려야 했다. 책 첫머리에 한글의 용법에 대한 설명을 해 놓았다.

: 기역(基役), : 니은(尼隱), : 디귿([]), : 리을(梨乙), : 미음(眉音), : 비읍(非邑), : 시옷([]), : 이응(異凝)

한자로 이렇게 적어서 첫소리(초성)와 끝소리(종성)가 어떻다는 것을 설명했다. 한데 문제가 생겼다. 한자에 발음이 ’, ‘’, ‘인 글자가 없었다. 할 수 없이 ’() 자를 가져다 적었다. ‘기윽이 아니라 기역이 돼 버렸다. ‘디귿지말’([])이라고 적었는데, 읽으면 디귿이 됐다. ‘’()16세기에 로 발음했다. ‘(귿) ’() 자에는 동그라미를 둘렀다. 음으로 읽지 말고 훈(‘귿’)으로 읽으라는 의미였다. ‘디귿으로 읽게 된다.


시옷’([])디귿처럼 읽은 결과다. ‘’()’()으로 읽게 했다. ‘기역, 디귿, 시옷은 이렇게 해서 더 굳어져 갔다. 현재의 우리 맞춤법에도 영향을 줬다.

기역, 디귿, 시옷으로 굳어진 이름에 대한 반대 목소리도 있다. ‘기윽, 디읃, 시읏으로 바꿔야 한다는 주장이다. ‘기역, 디귿, 시옷은 비합리적이고 과학적이지 않다고 한다. 한류 한글에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한다. 특히 키읔, 티읕, 지읒과도 달라 한글을 처음 배우는 이들은 헷갈린다는 것이다.

북녘에서는 기윽, 디읃, 시읏이 됐다. ‘, , 의 이름을 다른 글자의 이름과 같은 방식으로 바꾸었다. 이 이름들을 , , , , 라고 한 음절로 부르기도 한다. 북녘의 사전에는 속담 낫 놓고 기역자도 모른다낫 놓고 기윽자도 모른다라고 적혀 있다.

이경우 기자 wlee@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