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최고급 와인, 온난화에 휘청

프랑스 최고급 와인, 온난화에 휘청

입력 2016-03-22 17:28
업데이트 2016-03-22 17: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최고급 대우를 받던 프랑스산 와인들이 기후 변화로 위기를 맞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AFP통신 등에 따르면 엘리자베스 월코비치 미국 하버드대 진화생물학과 조교수 등은 21일(현지시간) 과학저널 ‘자연기후변화’에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의 공동 저자인 월코비치 조교수는 “1980년대 이래 샹파뉴와 부르고뉴, 보르도 등 유명 와인 산지의 포도 재배 환경 변화로 ‘수확의 방정식’이 바뀌고 있다”고 지적했다.

프랑스 북동부 샹파뉴는 샴페인의 산지로 유명하고, 비교적 서늘한 기후를 지닌 중동부 부르고뉴와 대서양에 접한 남서부 보르도 지방은 적포도주의 명성이 높다.

월코비치 교수는 “프랑스 대부분 지방은 수백 년, 수천 년 동안 비교적 안정된 토착 기후를 보여왔다”면서 “그러나 이제는 이런 기조가 전 세계적 기후 변화와 함께 바뀌고 있다”고 덧붙였다.

일반적으로 탁월한 와인을 제조하려면 토양, 포도 품종, 일조량, 재배지, 포도주 제조법, 포도주 저장실 등 다양한 요소가 조화를 이뤄야 한다.

품질이 더 좋은 와인이 생산되려면 풍족한 봄비, 뜨거운 여름, 수확기 직전의 가뭄 등의 3박자가 맞아 평년보다 포도 수확 시기가 빨라야 한다.

보고서의 공동 저자인 벤저민 쿡 컬럼비아대 지구관측소 연구원은 “수확기 직전 가뭄이 들면 기온이 상승해 수확이 몇 주 당겨진다”며 “이것이 빼어난 품질의 와인을 만들기 위한 기본적인 역학”이라고 설명했다.

쿡 연구원은 이제 기후 변화로 기온이 올라간 덕분에 수확기 직전의 가뭄과 같은 효과가 상시적으로 나고 있다며 “이전 400년과 비교할 때 1980년대 이래로 수확 날짜가 꼭 2주 앞당겨졌다”고 지적했다.

이미지 확대
프랑스 고급 와인
프랑스 고급 와인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프랑스에서는 20세기 들어 평균 기온이 1.5도 올라갔고, 수은주는 계속 상승하는 추세다.

기온 상승으로 인한 이른 포도 수확은 보르도 1990년, 2005년, 2010년 빈티지처럼 단기적으로는 ‘1세기에 한 번 나올까 말까 하는’ 명포도주의 탄생으로 이어졌지만, 장기적으로는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를 초래할 것으로 과학자들은 우려했다.

연구진은 이어 “미국 캘리포니아나 호주와 같은 와인 산지도 명성을 계속 이어가려면 새로운 테루아르(포도주가 만들어지는 자연환경)를 찾아 나서야 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