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걸음마 한국 인공지능 美·英보다 2.6년 늦어

걸음마 한국 인공지능 美·英보다 2.6년 늦어

윤수경 기자
윤수경 기자
입력 2016-03-10 22:54
업데이트 2016-03-10 23: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미래부, 올 R&D 300억 투자

우리나라의 인공지능 산업은 아직 걸음마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투자도 미미하고 소프트웨어 분야를 홀대하는 것과 무관치 않다. 지난달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가 발표한 ‘2015년 정보통신기술 수준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인공지능 기술은 미국, 영국 등 선진국과 비교해 2.6년 뒤져 있다. 쉽게 따라잡기 어려운 격차다.

미래창조과학부 관계자는 10일 “우리나라는 아직 인공지능기술 관련 인적, 산업적 기반이 미약하고 인공 지능 기술 전반에서 선진국 대비 격차가 있는 것이 사실”이라면서 “기업들도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투자를 진행 중이지만 본격화 단계에 이르지는 못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관련 연구가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 26개 공공연구기관 등은 협업, ‘엑소브레인’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엑소브레인은 한 사람이 2000년 동안 학습해야 얻을 수 있는 지식을 파악한 상태다. 책 약 50만권 분량의 데이터를 독파하고 2300만 가지의 주제에서 2억개가 넘는 지식을 숙지했지만, 아직은 선진국 인공지능 기술 수준에는 미치지 못했다. 딥뷰 프로젝트는 실시간 영상 분석을 통해 의미를 찾는 시각 기능 과제로 2014년부터 시작됐다.

인공지능 시장은 2025년 2000조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미래부는 올해 인공지능 연구·개발에 300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스토리 이해·요약, 공간·감성지능 등 지능형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민간 주도의 ‘지능정보기술연구소’를 세워 국내 인공지능 연구의 구심점으로 만들 계획이다.

김진형 소프트웨어 정책연구소장은 “구글처럼 지속적인 투자가 필요한데, 국내 대기업들은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을 계약기간도 안 채우고 내보내고 있는 실정”이라면서 “관련 인재를 꾸준히 키워야 하며, 늦었다고 무턱대고 선진국을 따랄 갈 것이 아니라 어떤 문제에 어떤 기술을 적용해야할 것인지를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성환 고려대 뇌공학과 교수는 “신경과학에 기반한 뇌과학적 연구와 인공지능 연구가 서로 너무 모르다 보니 한계가 뻔하다”면서 “여러 분야가 함께할 수 있는 융합 연구 생태계를 만들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윤수경 기자 yoon@seoul.co.kr
2016-03-11 5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