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시론] 세대간 관계 나이보다 중요한 것은/서우석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 교수

[시론] 세대간 관계 나이보다 중요한 것은/서우석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 교수

입력 2016-02-25 18:08
업데이트 2016-02-25 23:5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서우석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 교수
서우석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 교수
서울시 통계 발표에 따르면 2027년 서울은 5명 중 1명이 고령자인 초고령사회로 진입한다. 2012년에 100만명을 넘었던 고령인구가 2028년에는 200만명이 된다. 15년 남짓한 기간에 고령자 규모가 두 배로 늘어나는 것이다. 이러한 고령자 증가의 의미가 실감 나지 않는다면 지하철 노약자석을 생각하자. 노약자석이 고령자만을 위한 것은 아니지만 고령자 증가율을 기계적으로 적용하면 현재 대략 20% 내외인 지하철 전동차 내 노약자석은 두 배가 돼 거의 절반에 이를 것이다. 어쩌면 고령자 전용으로 좌석을 대폭 늘린 전동차 칸이 따로 등장할지도 모른다.

고령화 사회는 의료비 증가, 사회보험 재정 악화, 대규모 노인 빈곤, 성장잠재력 저하 등 심각한 경제적 문제를 초래한다. 고령화 사회의 경제적·재정적 문제에 관심을 기울이는 것은 중요하고 필요한 일이다. 하지만 고령화 사회의 도전을 잘 극복하기 위해서는 문화적 차원에서의 문제를 함께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중 하나가 세대 간 질서를 규정하는 문화의 문제다. 고령화 사회에서 세대 간 갈등이 서서히 심각해지는 양상이다. 세대 간 대립 양상은 연공서열 임금 구조나 연금 재정에서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다. 고령자 교통 혜택을 둘러싸고 인터넷에서 표출되는 청년층의 광범위한 거부감, 지하철 노약자석을 둘러싼 다툼과 민원의 빠른 증가 추세를 들여다보면 고령화 사회의 세대 간 갈등이 객관적인 이해관계의 문제만은 아니라는 점을 알 수 있다. 그동안 한국 사회에서 세대 간 관계를 규정해 왔던 논리는 가부장적인 장유유서 논리였고, 이에 바탕을 둔 연공서열이 사회조직의 권한 및 보상 배분의 기본 논리로 작동해 왔으나 이제 한계가 나타나고 있다. 그런데 그 양상이 상당히 역설적이다.

한편으로는 장유유서 논리가 젊은 층에까지 지속적으로 재생산되면서 나이에 따른 위계서열의 중요성이 유지되거나 강화된다. 이번에 대학에 입학할 신입생 중 ‘빠른 98’은 재수, 삼수한 동기들을 어떻게 호칭할 것인가, 얼마나 우대해 줄 것인가의 문제를 고민하게 될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는 경험보다 새로운 기술의 수용이 훨씬 더 중요한 가치를 가지는 정보화 사회에서 연장자가 가지던 경험의 가치가 줄고, 나이 든 사람이 누리는 보상의 우위 근거가 급격하게 붕괴된다.

정보화의 논리를 생각해 보면 장유유서를 대신할 세대 간 관계 윤리가 필요한 상황이지만, 기존의 세대 간 문화가 젊은 층에도 반복되는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나이 많은 사람의 존재를 젊은 사람들이 부담스러워하고 불편해하며, 가능한 한 나이 많은 사람들을 배제하려는 경향이 나타난다.

지난해 개봉했던 영화 ‘인턴’은 이러한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영화는 다른 직업에서 이미 중역에 이르기까지 많은 경력을 쌓았고 한때 은퇴했던 70대가 30대의 열정적인 여사장을 보스로 하는 인턴으로 취업하면서 겪게 되는 이야기들을 그린다. 이런 상황은 이미 영화의 배경인 미국에서도 예외적이니 너무 과장할 필요는 없다. 하지만 이 영화는 서로의 솔직한 의사소통과 상호 간의 존중을 통해 역전된 나이 차이에서도 서로 자연스럽게 도우며 일할 수 있는 관계의 가능성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흥미롭다.

이런 영화가 현실 속에도 가능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세대 간 관계를 자연스럽게 규정하는 조직 문화와 사회적 분위기 형성이 필요하다. 나이에 상관없이 모두 동등한 인격으로 존중받고, 상호 평등하게 의사소통할 수 있는 문화가 형성돼야 한다. 세대 간 평등한 의사소통과 상호 인격 존중에서 고령자의 일자리 창출이 좀 더 지속적으로 가능해질 것이다.

이런 문화를 어떻게 만들 것인가. 정부가 할 수 있는 일이 있을까. 어려운 일이다. 하지만 이를 위해 우리 각자가 할 수 있는 일이 있다. 어느 모임에서건 연장자라고 혼자서 떠들고 있는 것은 아닌지 살펴보자. 나보다 나이 어린 사람들이 지루함을 견디며 내 이야기를 들어 주고 있는 것은 아닐지 생각해 보자. 전체의 대화 시간에서 연장자가 차지하는 비중이 클수록 이미 세대 간 평등한 의사소통에서 멀어지는 것이고, 그 모임에 있는 어린 사람들은 그 연장자가 어서 돈 내고 가 주기를 바라고 있을지도 모른다.
2016-02-26 3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