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셀트리온 바이오시밀러 ‘램시마’ FDA 허가 청신호

셀트리온 바이오시밀러 ‘램시마’ FDA 허가 청신호

정현용 기자
정현용 기자
입력 2016-02-10 13:23
업데이트 2016-02-10 13: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면역질환 바이오 복제약

셀트리온의 면역질환 바이오 복제약(바이오시밀러) ‘램시마’의 미국식품의약국(FDA) 허가에 청신호가 켜졌다.

9일(현지시간) 미국 매릴랜드주 화이트오크 캠퍼스에서 열린 ‘관절염 자문위원회’에서 자문단 24명은 21대 3의 의견으로, 모든 적응증에 대해 램시마를 승인하라고 FDA에 권고했다고 셀트리온은 밝혔다.

자문위의 권고대로라면 램시마는 미국에서 류마티스관절염, 강직성척추염, 소아·성인 궤양성대장염, 크론병, 건선, 건선성관절염 등 다양한 면역질환에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자문위는 독립 기구로, FDA가 심사 중인 의약품의 품질·안전성·경제성 등에 대해 종합적인 의견을 제공한다. 자문위는 허가 자체를 직접 결정하진 않지만, FDA의 판단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 승인 권고에 따라 오는 4월쯤 FDA의 실제 승인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셀트리온은 기대하고 있다.

램시마가 최종 승인을 얻는다면 FDA의 승인을 받는 첫번째 항체 원료 바이오시밀러가 될 전망이다. 전체 바이오시밀러 중에서는 2번째다. 최초로 FDA의 승인을 받은 의약품은 호중구감소증 치료제 ‘작시오’다. 바이오시밀러는 바이오 의약품의 복제약이다. 바이오의약품은 일반적인 화학합성의약품보다 부작용이 작고 효능이 뛰어나다. 대신 제조 과정이 까다롭고 개발 비용이 비싸다.

생물체를 원료로 하기 때문에 완전히 동일한 의약품을 만드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유사하다는 뜻의 ‘시밀러’라는 표현을 쓴다. 램시마는 이미 유럽의약품청(EMA)을 비롯한 세계 67개국에서 허가받아 사용되고 있다.

2000년대 중반부터 바이오시밀러를 적극적으로 도입한 유럽과 달리 미국은 자국 산업 보호 등을 이유로 바이오시밀러 도입에 소극적이었다. 그러다 2012년 오바마케어법이 시행되면서 바이오시밀러의 허가에 대한 법적인 근거가 마련됐다.

한편, 램시마의 오리지널의약품 ‘래미케이드’(성분명 인플릭시맙)는 2014년 세계 시장에서 98억 8500만 달러(한화 약 12조원)의 매출을 기록한 블록버스터 항체의약품이다. 미국 시장 규모는 45억 달러(약 5조 4400억원)에 이른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