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 끝없는 추락] 中 경기침체 ‘수렁’ 속으로

[수출 끝없는 추락] 中 경기침체 ‘수렁’ 속으로

이창구 기자
이창구 기자
입력 2016-02-01 23:42
업데이트 2016-02-02 03: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제조업지수 11개월째 기준선 밑돌아

한국이 수출입 25%가량을 의존하는 중국의 경기 침체가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다. 중국의 경기 둔화가 한국에 치명타가 되는 이유가 다시 한번 입증됐다. 중국 경제매체 차이신은 지난 1월 차이신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48.4로 나타났다고 1일 밝혔다. 이는 시장 예상치(48.1)와 전월치(48.2)보다 소폭 높아진 것이지만 작년 2월 이후 11개월째 기준선 50을 넘지 못했다. PMI가 50을 밑돌면 경기 위축, 웃돌면 경기 확장을 각각 의미한다. 이날 중국 국가통계국이 발표한 1월 정부 제조업 PMI는 49.4로 3년 5개월 만에 최저를 나타냈다.

차이신 제조업 생산지수는 2개월 연속 위축세를 나타냈다. 시장 상황도 상대적으로 약세를 보이며 구매량 및 생산량 감소로 이어졌다. 아울러 중국 제조업 고용지수도 4개월 만에 최대 하락 폭을 기록했다. 제조업체들은 전반적으로 생산 감소에 따라 업무량이 줄어들면서 인력 감축 압박에 시달리고 있다. 허판 차이신싱크탱크 수석이코노미스트는 “현재 세계경제의 회복세가 미약한 점에 비춰 중국 경제의 하강 압력은 여전하다”면서 “정부가 거시경제 추세를 예의주시하며 시의적절한 조정을 통해 경착륙 발생을 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국가통계국이 발표한 1월 공식 비제조업 PMI는 53.5로 전월의 54.4보다 크게 낮았다. 경기 위축에 따른 제조업 부진이 서비스업에도 그대로 부정적으로 반영된 것이다.

이날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전장보다 1.81% 하락한 2687.92를 기록해 2700선도 지키지 못했다.

베이징 이창구 특파원 window2@seoul.co.kr

2016-02-02 3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