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3 스타트 - Q&A로 본 겨울방항 공부법] <1>내신 3등급, 서울 상위권 대학 이공계열 가려면

[고3 스타트 - Q&A로 본 겨울방항 공부법] <1>내신 3등급, 서울 상위권 대학 이공계열 가려면

입력 2015-12-21 23:16
업데이트 2015-12-22 01:2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논술전형이 적합… 수능 중심 공부하되 글쓰기 훈련도”

이번 주부터 전국 고등학교가 겨울방학을 맞는다. 내년에 고3 수험생이 되는 학생들에게 이번 겨울방학은 성적을 올릴 수 있는 더없이 좋은 기회다. 최근 대학 입시는 정시모집 비중이 높아지고 수시모집 비중은 줄어드는 추세다. 학생부종합전형이 대세라고 하지만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소홀히 할 수는 없다. 2017학년도 수능부터 영어에 이어 국어·수학도 A·B형의 수준별 시험이 폐지된다. 또 한국사가 필수과목으로 지정되는 등 많은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고3이 되는 학생들은 이번 방학 동안 어떤 준비를 해야 할까. 학생들의 다양한 입시 궁금증을 전문가들의 생생한 경험을 바탕으로 한 ‘Q&A’로 풀어 본다.

이미지 확대
Q. 일반고 자연계 2학년에 재학 중인 남학생 D입니다. 내신 성적은 3등급대를 꾸준히 유지하고 있습니다. 학생부중심전형에 지원하기에는 내신이 좋은 편이 아니고, 비교과는 교내 수상 경력이 있지만 풍부한 편은 아니어서 논술전형 지원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올해 9월 모의평가 성적은 국어 3등급, 영어와 수학은 1등급, 과학탐구는 2등급 정도입니다. 희망하는 대학은 서울 상위권 대학의 이공계열입니다. 내년에도 수시모집 비중이 높기는 하지만 정시까지 바라보고 준비하려 합니다. 이번 겨울방학에는 어떻게 공부하는 게 좋을지, 어떤 부분을 집중적으로 준비하는 게 좋을지 알려 주세요.

A. D군이 수능을 보는 2017학년도에는 국어 A형과 B형이 통합됩니다. 한국사는 필수과목입니다. 수능은 정시모집에서 주요 전형 요소일 뿐 아니라 수시모집에서는 수능 최저학력기준으로 적용됩니다. 고2 겨울방학은 기본적으로 수능 준비에 집중하는 게 좋습니다.

이미지 확대
우연철 진학사 입시전략연구소 연구원
우연철 진학사 입시전략연구소 연구원
D군은 수학, 영어, 탐구 성적은 대체로 우수한 편이지만 국어 영역이 취약한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내년에는 국어 과목의 수준별 수능시험이 폐지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자연계 수험생들이 응시하는 현재 국어 A형보다는 조금 난도가 높아질 개연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수능 대비에 있어 국어의 경우 좀 더 집중해서 준비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D군과 같이 모의고사 3등급대 이하 학생들은 시간 안에 푸는 것보다 문제를 정확하게 푸는 연습부터 해 봐야 합니다. 시간제한을 두지 않고 풀되 ‘다 맞겠다’는 생각으로 시간은 무제한, 독해도 무한대로 제한 없이 읽으면서 답 찾기를 해 보길 권합니다. 80분 시간을 재고 푸는 훈련은 헷갈리는 문제도 대충 찍는 습관을 들일 수 있습니다. 그래서 학습 초기에는 오히려 독이 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한국사는 계열에 상관없이 필수로 치러야 하기 때문에 다소 부담이 될 수 있을 겁니다. 하지만 상대평가가 아닌 절대평가로 성적이 반영되고, 대학별로 반영방법이 다르므로 희망 대학의 반영방법을 잘 파악하고 적절히 대비해 두면 큰 부담은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다음으로 수시 및 정시 전략을 나눠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수시에서는 D군이 말한 것처럼 학생부 교과와 비교과에서의 경쟁력이 다소 약해 보입니다. 학생부종합전형이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D군처럼 1학년 때부터 꾸준히 관리를 해 오지 않은 상태에서 지원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을 것입니다.

그렇다면 D군에게는 논술전형이 가장 적합합니다. 논술은 대학마다 출제 유형이 다르므로, 희망 대학의 논술출제 유형과 기출문제를 미리 파악할 필요가 있습니다. 최근 논술은 고교 교육과정 내에서 출제되고 있습니다. 겨울방학에 논술 준비만 따로 집중해서 하기보다 수능 중심의 학습을 기본으로 하되 논술은 일주일에 2~3시간씩 꾸준히 준비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수시 접수 전 내년 4~6월쯤 대학별로 모의논술이 진행됩니다. 모의논술을 치러 보면 더욱 구체적인 논술 대비 방향을 세울 수 있을 것입니다.

2017학년도 전형계획에 따르면 정시는 연세대, 고려대, 한양대, 성균관대 등 상위권 대학의 자연계열 수능 반영비율이 국어 20%, 수학 30%, 영어 20%, 과탐 30% 정도입니다. 국어의 반영비율이 타 영역에 비해 낮은 편이지만 4개 영역이 모두 반영되기 때문에 국어 영역의 성적이 좋지 않으면 불리해질 수 있음을 유의하세요. 따라서 남은 기간 성적을 최대한 끌어올리도록 노력해야 할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기억할 것은 D군의 현재 수능과 내신 성적이 최종 대학에 지원할 때까지 이어지는 게 아니라는 사실입니다. 방학을 지나 몇 달 뒤 3학년에 올라가면 현재 기준의 지원 가능 대학과 달라질 수 있습니다. 특히 수시모집 때 3학년 1학기까지 내신 성적을 반영하는 대학이 많기 때문에 내신 관리도 끝까지 해야 한다는 사실을 명심하시기 바랍니다.

우연철 진학사 입시전략연구소 연구원
2015-12-22 24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