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화 환율 6.4757위안… 4년 5개월 만에 최저

위안화 환율 6.4757위안… 4년 5개월 만에 최저

오상도 기자
입력 2015-12-17 23:06
업데이트 2015-12-18 00:1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中 지난달 133조원 빠져나가 대규모 자본유출 우려 현실화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세계 경제를 움직이는 또 다른 축인 중국에서 자본유출이 가속화될 것이란 우려가 커지고 있다.

17일 중국 현지 경제 전문가들에 따르면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에 따라 위안화 평가절하 추세가 이어져 주변국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이는 중국 정부가 위안화의 달러화 페그제(한 국가의 통화가치를 다른 국가의 통화에 연결하는 환율제)를 포기해 미 금리인상의 여파를 막으려는 움직임으로 연결되고 있다. 결국 중국도 자본유출과 위안화 가치하락, 외환보유액 감소라는 악순환에서 자유롭지 못하다는 의미다.

거시경제 연구기관인 캐피털이코노믹스에 따르면 지난 한 달 동안 중국에서 빠져나간 자금만 1130억 달러(약 133조 5000억원)로 전월 370억 달러의 3배에 이른다. 이는 월 단위로 역대 최고 수준이다. 류둥량(劉東亮) 차오상은행 이코노미스트는 “미국이 금리인상을 통해 긴축정책으로 돌아서게 됨에 따라 지난달부터 신흥국에서 자금유출이 본격적으로 나타나기 시작했고, 이는 중국도 예외는 아니다”라고 말했다.

아울러 11월 30일 현재 중국의 외환보유액은 3조 4380만 달러로 전월보다 872억 2000만 달러 줄어든 상태다. 2013년 2월 이후 34개월 만에 최저 수준이다. 경기둔화에 따른 자금 이탈로 위안화 가치가 떨어지자 당국이 외환보유액을 투입해 이를 막으려 했기 때문이다.

위안화 가치도 급락하는 추세다. 중국 인민은행은 17일 달러당 위안화 환율을 6.4757위안으로 고시했다. 이는 전일 고시환율(6.4626위안)보다 위안화 가치가 0.20% 하락한 것이다. 이로써 위안화 가치는 2011년 7월(6.4614위안) 이후 4년 5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하고 있다.

중국의 자본유출은 실물경기에도 악영향을 초래해 투자와 성장을 더욱 더디게 만들게 된다. 실제 중국의 수출경쟁력은 급락하는 추세다. 올 들어 1∼11월 누적 교역액이 전년 같은 기간보다 8.5% 하락한 것은 수출경쟁력 약화에서 기인한다.

중국의 수출에 힘입어 세계 경제가 성장하는 기존의 공식대로라면 세계의 공장인 중국의 제조업 경쟁력 약화와 중국 경기의 침체 상황은 신흥국과 세계 경제의 동반 약세를 가져올 악재가 된다.

베이징 이창구 특파원 window2@seoul.co.kr
2015-12-18 4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