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검열도 반대… 표현의 자유 보장”

“어떤 검열도 반대… 표현의 자유 보장”

안동환 기자
안동환 기자
입력 2015-12-14 22:34
업데이트 2015-12-14 22: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마리 신임 국립현대미술관장 간담회

1966년생. 젊었다. 그리고 워커홀릭(일중독자) 같았다. 국립현대미술관 개관 42년 만에 첫 외국인 관장으로 14일 임명된 스페인 출신 바르토메우 마리 리바스(49) 관장의 첫인상이다.

이미지 확대
바르토메우 마리 리바스 신임 국립현대미술관장이 14일 취임 기자 간담회에서 첫 외국인 관장으로서의 포부와 함께 스페인 바르셀로나현대미술관장 재직 시절 불거진 ‘정치 검열’ 논란에 대한 입장을 밝히고 있다.  최해국 선임기자 seaworld@seoul.co.kr
바르토메우 마리 리바스 신임 국립현대미술관장이 14일 취임 기자 간담회에서 첫 외국인 관장으로서의 포부와 함께 스페인 바르셀로나현대미술관장 재직 시절 불거진 ‘정치 검열’ 논란에 대한 입장을 밝히고 있다.

최해국 선임기자 seaworld@seoul.co.kr
마리 관장은 이날 서울 종로구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 국립현대미술관의 국제적 역량 강화와 창의적인 미술 교육기관으로서의 역할, 학술기관과 파트너십 구축 등 재임 기간에 해야 할 목표를 줄줄이 밝혔다.

그러더니 “휴가를 가고 싶지 않아서 (전 세계에서 노동시간이 가장 긴) 한국에 온 것”이라고 농담을 던지며 “요즘 미술관은 이렇게 일하지 않으면 살아남을 수가 없다”고 말했다. 이어 “관장 겸 콘텐츠까지 직접 관여하는 큐레이터 역할을 하고 싶다”며 “좋아하는 일을 (한국에서) 하게 된 즐거움과 기쁨 자체가 보상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올해 초 검열 논란으로 스페인 바르셀로나현대미술관(MACBA) 관장을 사퇴하게 된 과정과 관련해선 “나에 대한 명예훼손적인 측면도 적지 않다”면서 “나는 어떤 검열도 반대하고 있으며 표현의 자유를 보장할 것”이라고 단호하게 말했다. 그는 지난 3월 스페인 국왕을 풍자한 조각 작품에 대한 전시를 보류했다가 여론의 뭇매를 맞고 관장직을 그만뒀다. 이 과정에서 자신에게 항명한 큐레이터 2명을 해고했다는 의혹도 받았다. 마리 관장은 “공개적인 문서에 세세하게 기록돼 있다. 당시 특정 정보를 내게 숨겼기 때문에 전시 개관이 지연됐고 책임을 지고 사의를 표명했다”고 사실관계를 설명했다.

그는 한국 현대미술의 취약점으로 “내러티브가 구축되지 않아 해외에 크게 알려지지 않은 점”을 꼽으면서 “국립현대미술관을 발전시키는 데 외국 모델을 수입해 쓰지 않을 것이며 한국만의 새롭고 독특한 모델을 만들고 싶다”고 말했다.

‘미술계의 히딩크’라는 표현에 대해선 “참으로 부담이 되는 비유”라면서도 “예술계는 (축구와 달리) 팀과 경쟁하는 게 아니고, 이기고 지는 게임이 아닌 만큼 퇴임 후 참 잘했다는 느낌으로 오래 기억됐으면 좋겠다”는 바람을 밝혔다. 그는 한국 작가와 국립현대미술관 직원들과의 소통을 위해 1년 안에 대화할 수 있는 수준의 한국어 실력을 만들겠다는 개인적 목표도 제시했다.

바르셀로나대학에서 철학과 교육학을 전공한 마리 관장은 네덜란드 비테 데 비트 예술감독, 베니스비엔날레 스페인관 큐레이터, 바르셀로나현대미술관 관장을 역임했으며 지난해부터 국제근현대미술관위원회 회장을 맡고 있다.

안동환 기자 ipsofacto@seoul.co.kr
2015-12-15 2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