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누가 김노인을 죽였나<1>] 유서 110건 가득 채운 마지막 읊조림… 없다… 당신… 미안…

[누가 김노인을 죽였나<1>] 유서 110건 가득 채운 마지막 읊조림… 없다… 당신… 미안…

입력 2015-12-13 18:16
업데이트 2015-12-14 08:0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자살 노인이 남긴 단어 살펴보니

“밤새 통증에 시달린다. 의지할 건 전기 찜질기뿐인데 이젠 이놈마저도 효력이 없다. 더 견디기 어려울 것 같다. 슬퍼하지 말고 조용히 처리해 주길 바란다. 죽어도 돈이 문제다. 통장 잔액과 월세 보증금 200만원으로 간소히 장례는 치를 수 있을 거다. 거듭 생각해도 내 결단이 옳은 듯하다. 아비를 원망 마라.” (2013년 숨진 채 발견된 독거노인 A씨의 유서 중)

이미지 확대
유서는 자살 직전 고인의 심리를 파악하는 몇 안 되는 실마리다. 하지만 자살자 가운데 유서를 남기는 이는 10명 중 3~4명 정도에 불과하다. 상대적으로 문맹률이 높고 글 쓰는 일이 익숙지 않은 노인들은 이런 평균치를 밑돈다. 서울신문이 7일 언론사 최초로 박형민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연구위원, 서종한 사이먼 프레이저대학교 심리학과 연구원과 함께 1997년부터 지난해까지 국내 노인 자살자가 남긴 유서 110건을 모아 형태소(의미가 있는 언어의 최소 단위) 분석을 진행했다. 노인 유서에 반복해 쓰인 어휘의 빈도를 살펴, 사회적 함의를 파악하기 위한 시도다.

분석 결과 노인 유서 110건 속에 숨겨진 언어의 퍼즐은 ‘결핍과 상실’, ‘배려’, ´가족’ 등의 키워드로 귀결됐다. ‘나’(164회)라는 주어를 제외하고 가장 많이 쓰인 단어는 ‘없다’(130회)였다. 유서에서 ‘없다’는 주로 자신이 삶을 지탱해 줄 주된 요소가 사라지거나 더 나아질 희망조차 없다고 느낄 때 쓰였다. ‘돈이 없다’, ‘갈 데가 없다’, ‘생활을 할 수가 없다’, ‘가치조차 없다’, ‘이 길을 택할 수 밖에 없다’, ‘내 주위에 아무도 없다’ 등으로 절망의 순간을 기록했다. 특히 ‘없다’는 ‘사람’(56회), ‘자식’(36회), ‘돈(32회)’ 등의 단어 등과 주로 연결되며 고립된 노인의 삶을 대변했다. 저서 ‘자살론’에서 “자살은 개인이 삶에서 의미와 정체성을 상실했을 때 발생한다”고 한 프랑스 사회학자 에밀 뒤르켐의 주장을 떠올리게 한다.

이미지 확대
노인 유서의 행간에선 남은 이들을 위한 배려도 읽을 수 있다. 자신을 괴롭히는 신체적·경제적 고통이 다른 가족이나 친지에게 전이될 바엔 스스로 사라지는 길을 택하겠다는 생각이 녹아 있다. 반복해서 쓰인 ‘미안’(죄송하다 포함 163회), ‘용서’(60회) ‘생각’(43회), ‘부탁’ (40회), ‘바란다’(39회), ‘고생’(32회) 등의 단어가 이를 뒷받침했다.

70세 노인 B씨 C씨의 유서에서도 이런 대목은 잘 녹아 있다.

젊은 세대와 달리 노인들은 유서에 장례 절차나 가족에 대한 당부 등을 구체적으로 쓴다는 것 역시 특징이다. 실제 형태소 분석 결과 ‘화장’(36회)이라는 단어는 자식(36회), 아들(36회) 등과 같은 빈도로 쓰인 것으로 조사됐다. 절망의 끝자락에선 노인들이 마지막으로 읊조린 이름은 결국 가족이었다. 당신(80회), 엄마(66회), 자식(36회), 여보(38회), 아들(36회), 형(26회) 등 가족이라는 울타리 속 단어를 합친 숫자는 모두 380회에 달했다.박형민 연구위원은 “노인은 젊은 사람보다 상대적으로 죽음에 가까이 있다 보니 죽음에 대한 고민이 상당히 현실적이고 구체적”이라면서 “몸이 병들어 심신이 지치고 치료비는 점점 늘어만 가는 상황에서 가족에게 짐이 될 것이라는 두려움이 노인 자살을 부추기는 요인”이라고 해석했다.

서종한 연구원은 “유독 우리나라 노인은 자신을 스스로 ‘가족의 짐’이라 여겨 일종의 부채의식을 마음속에 품고 사는 경향이 짙다”라면서 “여기에 경제적 어려움, 심리적 무망감, 우울증 등이 보태져 스트레스가 증폭되면 자살 생각을 하거나 치명적 자해 행동을 벌이기도 한다”고 말했다.

윤수경 기자 yoon@seoul.co.kr
2015-12-14 6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