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 감독이 대표팀 맡아야”

“젊은 감독이 대표팀 맡아야”

심현희 기자
입력 2015-11-22 23:02
업데이트 2015-11-23 01:4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인식 감독 등 대표팀 금의환향 “국가대표 장기적으로 이끌어야”

“일본의 심장인 도쿄돔에서 일본과 미국을 꺾고 우승해 정말 감격스럽습니다.”

이미지 확대
한국을 프리미어12 초대 챔피언으로 이끈 김인식 대표팀 감독이 22일 김포공항 입국장에서 환영 꽃다발을 목에 걸고 미소 짓고 있다. 김도훈 기자 dica@sportsseoul.com
한국을 프리미어12 초대 챔피언으로 이끈 김인식 대표팀 감독이 22일 김포공항 입국장에서 환영 꽃다발을 목에 걸고 미소 짓고 있다.
김도훈 기자 dica@sportsseoul.com
제1회 세계야구소프트볼연맹(WBSC) 프리미어12 챔피언에 오른 한국 야구 국가대표팀이 22일 김포공항을 통해 금의환향했다. 2009년 프로야구 한화 감독을 끝으로 지휘봉을 내려놓은 지 6년 만에 국가대표팀 수장으로 그라운드에 돌아온 김인식 감독은 이날 공항 입국장에서 취재진과 만나 “초반 고전했지만 준결승 일본전에서 극적으로 승리하면서 팀 분위기가 살아났고 덕분에 우승할 수 있었다”고 소감을 밝혔다.

김 감독은 “일본의 ‘괴물투수’ 오타니 쇼헤이의 공이 워낙 강력하다 보니 이후 등판한 투수들의 좋은 공이 선수들에게 상대적으로 쉽게 느껴진 것 같다”며 “제일 염려했던 투수진이 기대 이상으로 해내 타선도 터질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일본전이) 2006 월드베이스볼클래식(WBC) 1회 1라운드 일본전에서 이승엽이 8회 역전 홈런을 날렸을 때보다 더 극적인 순간이었다”고 덧붙였다.

김 감독은 “한국에서도 오타니 같은 투수, 미국 외야수처럼 바로 홈으로 송구할 수 있는 강한 어깨를 가진 선수들이 나와야 한다고 느꼈다”며 “어릴 때부터 기초 체력을 쌓을 수 있도록 체계적인 프로그램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가대표 전임감독제에 대해서는 “부담이 많이 가는 자리이긴 하지만 꼭 필요하다고 본다”며 “국가대표팀을 장기적으로 이끌어 갈 젊은 감독이 나와야 한다”고 말했다.

이번 대회 초대 최우수선수(MVP)에 오른 김현수는 “한국에서 하던 대로 공격적으로 했다”며 “외국 선수들이 나에 대해 잘 모르는 데다 앞에는 정근우와 이용규, 뒤에는 박병호와 이대호가 버티다 보니 투수들이 정면 승부를 했고, 덕분에 좋은 타이밍을 잡을 수 있었던 것 같다”고 겸손하게 소감을 밝혔다. 그는 메이저리그 진출 등 향후 거취를 묻는 취재진에 질문에 “현재 모든 것을 에이전트에게 맡겨 놓은 상황이고 어느 팀으로 가든 출전 기회를 얼마나 잡을 수 있는지가 최우선 조건”이라고 말했다.

미국과의 결승전에서 3점 쐐기 홈런을 터트린 박병호도 “그전에 부진해서 신경 쓰였는데 결승전에서 홈런이 나와 그동안의 스트레스를 날릴 수 있었다”고 밝혔다.

심현희 기자 macduck@seoul.co.kr
2015-11-23 26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