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삼 前대통령 주치의 “지병에 패혈증, 급성 신부전 등 겹치면서 사망”

김영삼 前대통령 주치의 “지병에 패혈증, 급성 신부전 등 겹치면서 사망”

김태균 기자
입력 2015-11-22 10:59
업데이트 2015-11-22 10:5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오병희 서울대병원장 문답

22일 서거한 김영삼 전 대통령의 주치의인 서울대병원 오병희(62) 원장은 “허약한 전신 상태에 패혈증과 급성 심부전이 겹쳐 일어난 것”이라고 직접적인 사망 원인을 설명했다.

오 원장은 이날 오전 2시 서울대병원 대한의원 회의실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하고 이같이 밝혔다. 김 전 대통령은 지난 19일 낮 12시쯤 고열로 이 병원에 다시 입원했으며 상태가 악화돼 21일 오후 중환자실로 이송돼 치료를 받았으나 결국 서거했다. 다음은 오 원장과의 일문일답.

→지병 때문인가.

△ 원래 심장 혈관이 좁아지고 막힌 부분이 있어서 과거 수차례 시술을 받았다. 여기에 패혈증과 같은 급성 스트레스가 겹치면서 심장이 함께 악화돼 사망한 것으로 보인다. 원래 스텐트 시술도 받았고 혈관 관련 병이 많았다. 뇌졸중도 결국 혈관이 막혀서 생긴 병이다. 지병이 악화돼 사망한 것으로 본다.

→가족들은 임종을 봤나. 손명순 여사는 왔나.

△ 가족 다 오셨다. 영부인은 못 본 것 같아 내가 확인을 못해드리겠다.

→김현철씨는 있었나.

△ 그렇다.

→서거하기 전에 의식이 명료했던 최근 시점이 언제인가.

△ 병원에 입원할 때까지 어느 정도 의식은 있었다. 갑자기 많이 악화돼서 입원하게 됐다.

→중환자실에 들어갈 때는 의식이 없었나.

△ 의식의 정도는 판단에 따라 수준이 다를 수 있다.그때는 정상적인 판단이 안 된다고 봐 중환자실로 옮겼다.

→병원은 이 같은 상황을 예측했나.

△ 3∼4년 내가 봐드렸지만, 워낙 고령이고 중증 질환이 반복됐기 때문에 이런 상황이 올 수 있는 상황이었다. 뇌졸중은 2008∼2009년부터 작은 뇌졸중이 있었다. 가장 큰 뇌졸중은 2013년 4월에 있었다. 이후 18개월 정도 입원했고 그 후에는 통원치료를 했다.상황에 따라 입원하기도 했으며 내가 직접 진료를 봤다.

→이번 입원 때에는 특별한 시술이나 수술을 한 것이 있나.

△ 이번에는 없었다.

→고열이라고 했는데 그 외 다른 증상이 있었나.

△ 고열에 동반된 호흡곤란 증상이 있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이슬기 기자 seulgi@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