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열린세상] 최고행복책임자 도입 필요하다/김봉국 행복한기업연구소 대표

[열린세상] 최고행복책임자 도입 필요하다/김봉국 행복한기업연구소 대표

입력 2015-11-12 22:42
업데이트 2015-11-12 23: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김봉국  행복한기업연구소 대표
김봉국 행복한기업연구소 대표
직장 생활을 하면서 스트레스를 받아 정신적으로 고통받는 사람이 점점 늘고 있다. 정신과 치료를 받아야 하지만 병원을 찾지 않고 전전긍긍하는 사람도 많다. 아직은 정신과 진료와 치료를 바라보는 주변의 시선이 너무나 따갑기 때문이다. 어떤 병이든지 조기에 전문의 처방에 따라 치료해서 더 큰 병을 예방하는 게 맞다. 그럼에도 정신적인 질환에 대해서는 쉬쉬하고 감추는 경우가 허다하다.

기업들은 직원들을 과도한 경쟁에 내몰고 있다. 직장인들은 하루도 마음 편하게 생활할 수가 없다. 요즘같이 불황과 연말이 겹치면 직장인들은 더욱 고달프다. 매출 목표 달성을 위해 진력해야 한다. 내년도 사업계획을 짜기도 만만찮다. 야근을 밥 먹듯이 하지만 별 뾰족한 수가 없다. 동료 간에도 따뜻한 말 한마디 나누기가 어렵다. 일에 쫓겨 오히려 짜증을 낼 때가 더 많다.

구조조정의 악몽이 머리를 짓누른다. 다행히 이번에는 동료가 회사를 그만두지만 다음은 내 차례일지도 모른다는 공포감을 떨칠 수가 없다. 마음을 다잡고 일을 하려는데 상사는 툭하면 소리를 고래고래 지르면서 화를 낸다. 상사의 입에서 나오는 독기가 몸으로 전달될 때는 숨마저 막힐 지경이다.

우리나라 직장인 열 명 중 아홉 명(94%)이 나쁜 상사가 근무의욕을 떨어뜨린다고 생각한다. 이들은 모두 나쁜 상사 때문에 회사를 그만둬야겠다고 생각한 적이 있다. 열 명 중 여덟 명(84%)은 지금 다니는 회사에 나쁜 상사가 있다고 여긴다. 절반은 자신의 상사가 나쁜 상사라고 생각한다. 취업 컨설팅 업체 잡코리아가 최근 직장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결과는 예상대로 가히 충격적이다.

경영자들은 흔히 성과와 보상을 말한다. 신상필벌을 전가의 보도처럼 꺼낸다. 회사를 위해 가시적인 성과를 올리면 그에 걸맞은 보상을 하겠다는 얘기다. 일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사람은 반드시 처벌을 해야만 조직이 발전한다는 믿음을 갖고 있는 듯하다. 하지만 우격다짐으로 생산성을 높이려는 관리경영으론 지속 성장을 담보할 수 없다. 직원을 행복하게 만드는 기업이 성공하고 오래갈 수 있다. 한국능률협회컨설팅(KMAC)의 조사에 따르면 직원이 행복한 기업의 성장률이 그렇지 않은 기업에 비해 두 배나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행복을 중시하는 경영이 새로운 트렌드로 부상하고 있다. 선진국 기업에선 직원들의 행복을 증진하기 위한 전담 부서를 창설 중이다. 학계에서도 행복에 대한 학문적 관심이 높아졌다. 미국 하버드대에서는 ‘행복학’이 최고의 인기 강의 중 하나로 자리를 잡았다. 아이스크림 회사 벤&제리스의 CEO 월트 프리스는 자신을 ‘최고행복책임자’(Chief Euphoria Officer)라고 부른다. 직원과 고객의 행복을 CEO가 책임지겠다는 것이다.

직장인들은 회사에서 생기는 고민을 털어놓을 사람이 없다. 모처럼 친구를 불러 위로를 받기를 청해 본다. 오랜만에 만난 친구는 반갑기도 하고 시시콜콜한 이야기로 다소간 마음은 풀린다.

하지만 마음속에 응어리진 것들은 그대로다. 친구는 우리 회사 내부 사정을 잘 모른다. 좀 더 깊은 이야기를 나누려고 하면 벽에 부딪힌다. 친구는 간혹 맞장구치지만 완전히 공감하는 것 같지가 않다. 건성으로 듣고 있다는 생각에 가슴이 더 답답해진다. 집에 가서 가족들에게도 회사 이야기를 제대로 할 수 없다.

직장인은 고충을 들어 주고 공감할 사람이 필요하다. 회사의 내부 사정을 잘 알고 있어야 한다. 그래야 시원하게 맞장구쳐 줄 수 있다. 대화하면서 힐링이 되고 행복감을 느끼게 해야 한다. 기업에는 최고행복책임자(CHO·chief happiness officer)가 필요하다.

CHO는 기업 내에서 직원들의 애로를 타개해 주고 고충을 상담해 주고 행복한 직장 생활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책임자다. 여건이 허락하면 CHO 밑에 전담 부서를 두어야 한다. 기존의 인사와 총무 부서의 관리 시스템과는 다른 복지 시스템이 필요하다는 얘기다. 직원을 아끼고 존중하는 회사에 미래가 있다. 이젠 우리 기업들도 행복 바이러스를 만들어 전파하는 CHO 제도를 도입할 때가 됐다.

2015-11-13 3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