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얀마의 봄’ 꽃피운 수치 “대통령보다 높은 지도자 되겠다”

‘미얀마의 봄’ 꽃피운 수치 “대통령보다 높은 지도자 되겠다”

오상도 기자
입력 2015-11-09 23:06
업데이트 2015-11-10 04:1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총선 압승… 그녀의 다음 행보는

27년간 민주화 운동의 ‘가시밭길’을 걸어온 아웅산 수치(70) 민주주의민족동맹(NLD) 의장은 ‘대통령 위의 지도자’로 등극할 수 있을까.

이미지 확대
거리 뒤덮은 민주화의 열망 9일 미얀마 최대 도시 양곤의 민주주의민족동맹(NLD) 당사 앞에서 지지자들이 아웅산 수치 의장의 대형 초상화를 들고 승리의 환호를 내지르고 있다. 양곤 AFP 연합뉴스
거리 뒤덮은 민주화의 열망 9일 미얀마 최대 도시 양곤의 민주주의민족동맹(NLD) 당사 앞에서 지지자들이 아웅산 수치 의장의 대형 초상화를 들고 승리의 환호를 내지르고 있다.
양곤 AFP 연합뉴스
이미지 확대
미얀마 자유 총선에서 최대 야당인 NLD의 승리가 확실시되면서 수치 의장의 향후 행보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뉴욕타임스와 AFP 등 외신들은 9일 미얀마에서 25년 만에 치러진 자유 총선의 중간 개표 결과 못지않게 수치 의장의 일거수일투족에 관심을 기울였다.

수치 의장을 ‘어머니 수’, ‘더 레이디’ 등으로 부르는 국민은 그가 전면에 나서 민주화와 경제 발전을 이끌어 주길 바라고 있다. 이제 관심은 수치 의장이 미얀마 권력의 최정점에 올라설지 여부다.

현지 언론의 예상대로 NLD가 과반 의석을 확보하면 1962년 이후 반 세기 넘게 이어온 군부 독재는 사실상 막을 내린다. 미얀마 건국의 아버지 아웅산 장군의 딸인 수치 의장은 총선 직전 인터뷰에서 “헌법에는 대통령 위의 지도자를 제한하는 조항은 없다”며 “대통령보다 높은 최고 지도자가 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총선 승리로 리더십을 재확인하더라도 국민의 바람대로 민주화의 상징을 넘어 국가를 이끄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군부가 2008년 개정한 신헌법 59조는 외국인을 배우자로 두거나 외국 국적의 자녀를 둔 사람은 대통령이나 부통령에 입후보할 수 없도록 했다. 수치 의장은 역사학자인 영국인 마이클 애리스와 결혼해 영국 국적의 아들 2명을 두고 있다.

이에 따라 수치 의장은 내년 2월 초로 예상되는 대선에 입후보할 수 없는 상황이다. 연방제를 표방하는 미얀마에선 대통령이 상·하원 합동 회의에서 선출되는 간선제를 택하고 있다. 수치 의장은 대신 측근을 내세워 대통령으로 당선시킨 뒤 새 정부를 이끄는 실질적 지도자로 나설 가능성이 크다.

일각에선 ‘개헌 시나리오’도 내놓고 있다. 수치 의장의 대통령 출마 제한을 풀고 군부에 상·하원 의석의 25%를 당연직으로 할당하는 조항을 개정하는 게 목표다. 하지만 헌법 개정은 산 너머 산이다. 군부의 당연직 의원을 제외한 나머지 75%의 의원 전원이 찬성해야 하는 데다 국민투표, 군부 거부권 행사 등의 절차를 거쳐야 한다. 이로 인해 수치 의장이 이번 대선에는 출마하지 못하지만 추후 헌법을 고쳐 2020년 대선에 출마할 것이란 관측도 나오고 있다.

수치 의장은 미얀마 민주화 운동의 아이콘이다. 연예인을 능가하는 열광적인 인기를 누리고 있으며 이번 선거 과정에서도 유일하게 전국적으로 대중적 지지를 얻은 인물로 부각됐다.

수치 의장은 1988년 어머니가 뇌졸중으로 쓰러지자 병간호를 위해 영국에서 잠시 귀국했다가 정치 운동에 발을 들였다. 그해 8월 8일 벌어진 ‘8888’ 민주화 운동과 이를 무참히 진압하는 군부를 목도하면서 심적 변화를 겪은 것으로 알려졌다.

그가 이끈 민주화 운동은 군부 독재자 네윈을 권좌에서 끌어내리며 결실을 맺는 듯했다. 하지만 곧바로 소 마웅 장군의 쿠데타가 일어나 이에 저항하던 3000여명의 국민이 목숨을 잃었다. 수치 의장도 1989년 가택연금에 처해졌다. 일부 시기를 제외하면 2010년까지 모두 15년간 바깥 출입을 통제당했다.

군사정부가 서방의 압력을 못 이겨 실시한 1990년 총선에선 수치 의장이 이끄는 NLD가 인기몰이를 하며 무려 82%의 지지를 얻어 압승했다. 하지만 군사 정부는 정권 이양 약속을 지키지 않았다. 수치 의장은 가택연금에도 굴하지 않고 민주화 운동을 이끌어 왔다. 1991년 노벨 평화상을 받아 국제적으로도 큰 신망을 얻고 있다. 2012년 4월에 실시된 보궐선거에선 국회의원에 당선돼 정식으로 정계에 복귀했다.

고(故) 김대중 전 대통령과는 가택연금 탓에 직접 만나진 못했으나 막역한 관계로 알려졌다. 2007년 김 전 대통령은 직접 미얀마를 찾아 수치 의장을 만나려 했으나 입국이 거부됐다. 그해 자신의 노벨 평화상 수상 7주년 행사를 ‘미얀마 민주화의 밤’ 행사로 열어 수익금을 수치 의장을 비롯한 NLD 인사들에게 전달했다. 지금도 김대중도서관 1층에는 수치 의장이 보낸 자필 편지가 전시돼 있다.

하지만 세계적으로 주목을 끌던 수치 의장은 로힝야족 난민 문제에 대해서는 사실상 침묵해 인권과 민주주의 옹호자의 역할을 팽개쳤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아울러 불교 급진주의 세력이 득세하면서 정치적 갈등 못지않게 종교적, 민족적 갈등을 풀어야 하는 과제도 떠안게 됐다.

오상도 기자 sdoh@seoul.co.kr
2015-11-10 17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