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일의 어린이 책] 요~~~만한 쌀벌레, 이~~~만한 목소리

[이주일의 어린이 책] 요~~~만한 쌀벌레, 이~~~만한 목소리

김승훈 기자
입력 2015-10-30 17:12
업데이트 2015-10-30 17:5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나 쌀벌레야/주미경 지음/서현 그림/문학동네/108쪽/1만 500원

이미지 확대
제3회 문학동네동시문학상 대상을 수상한 시인의 첫 동시집이다. 동시 속에는 아이, 노인, 노동자, 벌레, 동식물 등 세상을 구성하는 다양한 존재들의 이면이 담겨 있다. 대상 수상작인 ‘나 쌀벌레야’는 사람을 보고 겁먹고 도망가기는커녕 “너 쌀 속에서 놀아 봤니”라고 묻는 쌀벌레의 모습이 당차게 그려져 있다.

‘너 쌀 속에서 놀아 봤니/누가 쌀독 밑으로 더 깊이 내려가나/누가 더 하얗게 쌀가루 뒤집어쓰나/쌀독이 열리고 바가지가 내려올 때/누가 빨리 피하나/참, 마지막 놀이는 위험해/아차 하는 순간 저 구멍 위로/딸려 가는 수가 있으니까/요즘은 쌀이 줄지가 않아/우리야 쌀이 넘칠수록 좋지만/사람들은 뭘 먹고살까’(‘나 쌀벌레야’ 중)

동시집엔 쌀벌레처럼 작은 몸집에도 기죽지 않고 제 목소리를 내는 존재들이 다수 나온다. 뻐꾸기 울음을 잠재우기 위해 큰 돌을 던져대는 할아버지를 향해 더 큰 소리로 울어대는 뻐꾸기들(‘누가 그래’), 숲을 통째로 잘라버릴 듯 날아와 “자, 나를 따르겠느냐”고 묻는 솔개에게 콧방귀를 뀌는 다람쥐와 뱁새(‘흥!’) 등 작은 존재들의 당찬 모습이 익살스럽게 표현돼 있다.

재치 있고 천연덕스런 그림은 시 읽기의 흥을 더하고 맥을 살린다. 현실과 환상을 오가는 표현으로 시와 아이들의 거리를 좁힌다. 심사위원인 시인 안도현은 “주미경의 동시는 진술로 말을 건다. 아이들의 마음의 결이 무엇을 원하는지를 잘 알고, 동심 파고들기를 성공적으로 보여주고 있다”고 평했다. 시인은 2010년 월간 ‘어린이와 문학’ 추천 제도에서 동시 4회 추천 조건을 충족하며 등단했다. 초등 고학년.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2015-10-31 19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