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르테논 신전 조각은 왜 영국까지 갔을까

파르테논 신전 조각은 왜 영국까지 갔을까

함혜리 기자
입력 2015-10-16 22:36
업데이트 2015-10-17 05: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파르테논 마블스, 조각난 문화유산/크리스토퍼 히친스 외 지음/김영배·안희정 옮김/시대의창/296쪽/1만 6800원
아테네 시내가 한눈에 내려다보이는 아크로폴리스에 우뚝 서 있는 파르테논 신전은 건축적으로나 예술적으로 풍부한 이야기와 탁월한 가치를 지닌다. 특히 천재 조각가 페이디아스에 의해 만들어진 파르테논의 프리즈 장식은 고대 그리스 문화의 대표적인 상징으로서, 그리고 인본주의 사상과 예술미의 기원이라는 점에서 세계 공통의 문화유산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대리석으로 만들어진 프리즈 장식의 절반 이상이 영국에 있고 그리스는 20여년째 이 위대한 유물의 반환을 요구하고 있다.

‘파르테논 마블스, 조각난 문화유산’은 2500년 동안 그리스에 있었던 파르테논 신전의 대리석 조각이 어떻게 쪼개져 그리스와 영국 두 나라에 각각 보관되고 있는지, 그리고 그리스의 반환 요청은 왜 오랫동안 성사되지 않는지의 전 과정을 추적한다.
19세기 초 오스만제국에 파견된 영국 대사 엘긴경은 술탄으로부터 받은 칙령을 빌미로 파르테논 신전의 조각을 떼어내 영국으로 실어 날랐다. 톱으로 대리석을 뜯어내다 두 토막을 내기도 하고, 나르기 너무 큰 조각은 일부러 잘라냈다. 조각을 싣고 영국으로 향하던 배가 침몰해 일부 조각은 영원히 훼손되기도 했다. 그렇게 옮겨 온 대리석이 현재 ‘엘긴마블스’라는 이름으로 대영박물관의 두빈갤러리에 전시돼 있다.
영국의 문화비평가인 크리스토퍼 히친스, 영국 파르테논조각 환수위원회 설립자인 역사가 로버트 브라우닝, 그리스의 건축가 차라람보스 보라스 등 저자들은 인류가 파르테논에 저지른 만행을 역사적으로 살펴보고 ‘보존’이라는 미명에 숨겨진 인간의 탐욕과 훼손 과정을 연대기순으로 훑는다.
그리고 반환하지 않으려는 영국의 입장과 그에 대한 변명, 이에 맞서 인류 유산을 온전히 지키려는 그리스의 입장을 논쟁 중심으로 풀어 나간다. 책은 문화유산을 환수하고 복원하는 일은 단지 유형의 가치뿐 아니라 문화유산을 보유한 인류의 역사와 도덕성, 국민성을 복원하는 일이라고 강조한다.
함혜리 선임기자 lotus@seoul.co.kr

2015-10-17 19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