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금융에 대한 부정적 인식 6개월 전보다 개선”<금융硏>

“금융에 대한 부정적 인식 6개월 전보다 개선”<금융硏>

입력 2015-10-07 13:46
업데이트 2015-10-07 14:3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하반기 금융신뢰지수 92.7…상반기 대비 6.5P↑

한국 금융에 대한 일반인의 신뢰도가 6개월 전보다 개선됐다.

그러나 금융권 전반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 수준은 여전히 부정적이어서 업권별 이해관계가 아닌 금융소비자 입장에서 근본적인 금융개혁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금융연구원이 7일 공개한 조사결과를 보면 올해 하반기 금융신뢰지수는 92.7로 상반기의 86.2보다 6.5포인트 상승했다.

금융신뢰지수는 연구원이 한국갤럽에 의뢰해 만 19세 이상 일반인 1천명을 전화로 설문조사한 결과를 수치화한 것으로 지수가 100 이상이면 긍정적 답변이, 100 이하면 부정적 답변이 더 많다는 뜻이다.

첫 조사였던 작년 하반기에는 신뢰지수가 89.5, 올해 상반기에는 86.2였다.

올해 조사결과에서는 금융 신뢰도 전반에 대한 부정적인 응답 비중이 26.9%로 6개월 전(34.9%)보다 8.0%포인트 떨어졌고, 긍정적인 응답 비중이 19.0%로 6개월 전(14.1%)보다 4.9%포인트 올랐다.

조사항목별로 보면 금융제도의 공정성 및 합리성(76.5→84.9), 금융회사 고객서비스(93.1→100.2), 금융종사자 신뢰도(90.6→97.6), 금융감독기관의 소비자 보호노력(72.1→82.2), 정부 금융정책 정당성(66.5→73.2) 등에 대한 평가가 상반기보다 의미 있게 호전됐다.

그러나 평가가 중립적인 금융회사의 고객서비스(100.2)를 제외하면 나머지 항목 모두 지수가 100보다 낮아 금융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이 여전히 많았다.

특히 금융감독기관의 효율성(64.3), 정부 금융정책의 적정성(73.2) 등 금융감독 및 금융정책 부문에 대한 신뢰도가 최하점을 받았다.

6개월 전과 비교한 우리나라 경제상황에 관한 평가(58.7)는 직전 조사(55.4) 때보다는 지수가 호전했지만 ‘나빠졌다’는 응답이 여전히 63.6%나 돼 비관적인 시각이 우세했다.

지역별로는 부산(99.7), 대구(104.7), 강원(100.7) 지역의 금융신뢰지수가 높은 편이었다.

서병호 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작년 하반기에는 개인정보 유출 사태, 올해 상반기에는 KB금융 경영진 갈등 등이 불거지면서 금융신뢰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며 “올해는 특별한 이슈가 없었던 가운데 비대면 실명인증, 인터넷 전문은행, 복합점포 확대 등 정책 당국의 금융개혁 추진이 신뢰도를 높이는 데 기여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신성환 금융연구원장은 금융개혁과 관련, 업권별 이해관계가 아닌 금융소비자 관점에서 개선방향을 모색해야 금융신뢰도 제고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신 원장은 금융신뢰지수 발표 기자간담회에서 “금융서비스 공급자 관점에서 금융개혁을 추진하면 업권별 이해관계가 얽혀 논의가 복잡해진다”며 “서비스 공급자가 아닌 금융소비자 입장에서 개선이 필요한 부분이 무엇인지를 찾아내야 금융개혁의 효과가 크게 나타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신 원장은 최근 금융위원회가 태스크포스를 발족한 ‘국민 재산 늘리기 프로젝트’에 대해 “늦은 감이 있지만 진작부터 이렇게 국민 관점에서 개혁을 시작했어야 한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