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옴부즈맨 칼럼] 재미난 수학을 기대하며/정형근 정원여중 교사

[옴부즈맨 칼럼] 재미난 수학을 기대하며/정형근 정원여중 교사

입력 2015-09-29 23:08
업데이트 2015-09-30 01: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정형근 정원여중 교사
정형근 정원여중 교사
얼마 전 2015 교육과정이 발표됐다. 2015 교육과정은 문·이과 통합 교육을 통해 창의적 융합 인재를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연극 단원을 신설하고 수학의 학습량을 줄이는 방안이 눈에 띈다. 수학의 학습량을 줄이는 방안에서 ‘수포자’를 더이상 방치하지 않겠다는 교육 당국의 의지가 엿보인다.

‘수포자’는 ‘수학 포기자’의 준말로 수학 공부를 포기한 학생들을 가리킨다. 그런데 이 말이 고등학생 10명 중 6명을 낙제생으로 만드는 우리나라 수학 교육의 실태를 반영하고 있다고 생각하면 그저 웃고 넘길 수만은 없다. 더욱이 수학이 대학 입시를 좌우하는 상황(서울신문 9월 10일자 3면)이라면 ‘수포자’의 양산은 단순한 현상을 넘어 심각한 사회적 문제가 아닐 수 없다.

학생들이 수학을 포기하는 이유에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수학이라는 과목이 단계적이고 체계적이어서 어느 단계를 놓치면 따라가기 힘들다는 점, 우리나라의 수학 교육 과정에서 다루는 내용이 너무 많아서 세세하게 익히고 넘어갈 시간이 부족하다는 점이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수포자’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학습량을 과감히 줄일 것을 주문하지만, 이런 방안은 결국 교육 경쟁력을 떨어뜨리게 될 것이라는 반론 또한 만만치 않다.

해결책을 찾기 어려울 때는 문제의 당사자들에게 물어보는 것도 한 방법이다. 학생들의 생각은 ‘왜 일상생활에서 써 먹지도 못하는 어려운 수학을 꼭 배워야 하는가’라는 물음에 담겨 있다. 하지만 그 누구도 이 물음에 시원하게 답해 주지 않는다. 왜 배우는지도 모르는 상태에서 무조건 문제 풀이를 반복하다 보니 수학이 재미가 있을 리 없다.

얼마 전 초등학교 저학년인 딸아이가 열심히 책을 보고 있었는데 수학 문제집이었다. 문제를 푸는 것이 아니라 읽고 있는 것이 신기해 물었더니, 문제집의 양쪽 날개에 있는 내용이 재미있다는 것이다. 살펴보니 문제집의 양쪽 날개에 관련 내용들의 이해를 돕는 이야기들이 펼쳐져 있었다. 양 날개에 기술된 스토리텔링이 수학에 대한 어려움이나 두려움을 줄여 준 것이다.

결국 학생들은 고차원적인 문제 해결이나 문제 풀이가 아니라 재미있으면서도 실생활에 도움이 되는 수학을 원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런 면에서 수학 교육 일각에서 주장하는 수학의 역사, 수학자 등을 교육 과정과 연계해 다루는 ‘수학독서’ 과목의 도입을 과감하게 검토할 필요가 있다. 그동안의 수학 교육은 고차원적 사고력 함양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 어렵고 난해한 내용이 많았던 게 사실이다.

한자 병기를 주장하는 사람들은 우리말의 많은 부분이 한자어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어려서부터 학생들의 어휘력과 사고력 증진을 위해서는 한자 병기가 꼭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이는 고차원적인 사고력의 증진을 위해서는 미적분과 같은 내용이 교육 과정에 남아 있어야 한다는 수학 교육의 논리와 다르지 않다. 수학을 쉽게 만들어 가르치는 것보다 중요한 것은 수학의 기본 원리를 재미있게 가르치는 것이다. 실생활과 연관된 수학, 푸는 수학이 아니라 읽고 생각할 수 있는 수학이 돼야 한다. 만약 수학 교육이 그동안 걸어왔던 길을 고수한다면 그 길은 언어생활에서 살아 있는 한자가 아니라 그림이 돼 버린 한자가 걸었던 길을 가게 될 것이다.

2015-09-30 3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