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반도체신화 주역 황창규 ‘5G 통신신화’에 새로운 도전

한국 반도체신화 주역 황창규 ‘5G 통신신화’에 새로운 도전

주현진 기자
주현진 기자
입력 2015-09-21 23:04
업데이트 2015-09-21 23: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국 통신 130년’서 비전 발표

“대한민국 통신의 시작은 미약했지만 이제는 정보통신기술(ICT) 강국으로 전 세계의 부러움을 사고 있습니다. KT는 전 세계 통신 시장의 리더로서 5세대(5G) 통신을 선도해 나갈 것입니다.”

이미지 확대
최양희(앞줄 오른쪽 네 번째) 미래창조과학부 장관과 황창규(세 번째) KT 회장, 최성준(첫 번째) 방송통신위원장,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장인 새누리당 홍문종(다섯 번째) 의원이 21일 서울 광화문 KT 올레스퀘어에서 개막한 대한민국 통신 130년 특별전시장에서 전시부스에 전시된 아크릴구 속의 삐삐를 바라보고 있다. 손형준 기자 boltagoo@seoul.co.kr
최양희(앞줄 오른쪽 네 번째) 미래창조과학부 장관과 황창규(세 번째) KT 회장, 최성준(첫 번째) 방송통신위원장,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장인 새누리당 홍문종(다섯 번째) 의원이 21일 서울 광화문 KT 올레스퀘어에서 개막한 대한민국 통신 130년 특별전시장에서 전시부스에 전시된 아크릴구 속의 삐삐를 바라보고 있다.
손형준 기자 boltagoo@seoul.co.kr
황창규 KT 회장은 21일 서울 광화문 KT올레스퀘어에서 ‘대한민국 통신 130년 기념식’을 갖고 KT를 중심으로 하는 우리의 통신 역사를 집중 조명하고 5G 통신 리더로서의 비전을 제시했다. 지난해 1월 KT 회장에 취임한 이후 융합서비스, 데이터 중심 요금제 등 각종 혁신 화두를 던져 온 황 회장이 이번에는 통신 역사 카드를 내민 것이다.

황 회장의 제안으로 KT가 주최한 이날 행사는 “지난 130년 동안 이어온 우리 통신 역사 속에서 KT가 가진 1등 DNA를 발견하고 이를 토대로 통신 업계 1위로 부상하자는 메시지를 전하려는 취지”라고 KT 측은 설명했다.

이미지 확대




KT의 뿌리는 조선 고종 22년인 1885년 설립된 한성전보총국(현 우정사업본부)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서울과 인천 사이의 전보 업무를 담당한 만큼 우리 통신의 효시로 간주된다. 이런 관점에서 KT는 지난 130년 동안 한성전보총국, 조선총독부 산하 통신국(1910년) 등 을 거쳐 해방 뒤 대한민국 정부 수립과 함께 체신부(1948년)로 변경, 한국전기통신공사(1981년), KT(2002년)로 변신하며 대한민국 통신 역사의 명맥을 이어왔다.

황 회장은 이날 기념식에서 한국 통신의 중요한 성취마다 KT가 있었다는 점을 강조했다. 실제 한국전기통신공사 시절이던 1984년 한국이동통신서비스주식회사를 설립해 본격적인 이동통신 시대를 연 데 이어 1986년 순수 자체 기술로 개발한 자동식교환기(TDX)를 개통해 1가구 1전화 시대를 구현했다. 1994년 코넷(KORNET)이란 이름으로 인터넷을 처음 상용화했으며, 2009년엔 업계 최초로 스마트폰을 도입하기도 했다.

황 회장은 이같이 ‘1등 역사’를 가진 KT가 ‘기가토피아’를 바탕으로 5세대(5G) 무선 시대를 개척하고 세계 통신 시장을 이끌어 가겠다는 포부다.

그가 주창한 기가토피아란 인간과 사물이 기가 인프라로 연결되고, 융합서비스를 통해 ICT 생태계가 활성화되는 세상을 말한다. 기가토피아의 근간이 되는 유무선 기가 인프라를 선도적으로 완성하기 위해 임기인 2017년까지 3년간 총 4조 5000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기가토피아를 구체화하기 위해 지난해 10월 기존 인터넷보다 10배 빠른 ‘기가 인터넷’을 출시한 데 이어 6월에는 기존 롱텀에볼루션(LTE)보다 15배 빠른 ‘기가 LTE’ 서비스도 상용화했다. 2004년 삼성전자 반도체총괄 사장이 된 뒤 ‘황의 법칙’을 제시하며 반도체 신화를 써 내려간 그가 이번엔 통신 신화로 ‘제2의 황의 법칙’을 재현할지 주목된다.

한편 KT는 이날 사옥 1층에 상설 전시관을 마련해 모스 전신기부터 사물인터넷(IoT) 기기까지 다양한 통신 역사 자료를 공개했다. 기념식에서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삼성전자 등에 감사패를 전했다.

주현진 기자 jhj@seoul.co.kr

2015-09-22 2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