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고래호 11번째 사망자 추자대교 해상에서 발견

돌고래호 11번째 사망자 추자대교 해상에서 발견

입력 2015-09-10 23:48
업데이트 2015-09-11 03: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해경, 탑승자 21명으로 잠정 발표

지난 5일 밤 제주 추자도에서 낚시어선 돌고래호가 전복된 뒤 10일 오후 추자대교 해상에서 11번째 사망자가 발견됐다. 제주해양경비안전본부는 10일 해경 1007함 고속단정이 상추자도와 하추자도를 잇는 추자대교 아래 해상에서 숨진 돌고래호 탑승자 김모(48)씨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해경은 돌고래호 탑승자가 21명이라고 잠정 발표했다. 김씨의 시신 발견으로 이번 사고 사망자는 11명으로 늘었다. 해경은 구조자 3명을 제외한 나머지 실종자를 7명으로 보고 수색 중이다.

또 해경이 몇 대의 함대를 수색에 동원했는지, 구조 ‘골든타임’에 수색이 이뤄졌는지를 두고 유족과 해경이 감정 섞인 승강이를 벌이고 있다. 유족들은 돌고래1호 선장의 증언을 내세워 10일 해경의 초기 대응이 미흡해 인명 사고가 커졌다고 지속적으로 주장하고, 해경은 수색에 최선을 다했다며 맞서고 있다.

전복된 돌고래호를 따라가다 회항했던 정모(41) 돌고래1호 선장은 이날 전화통화에서 “지난 5일 저녁에 사고 낚싯배와 연락이 되지 않아 친분이 있던 어선 7대와 함께 사고가 일어난 밤 11시쯤까지 불빛을 비추며 찾았다”며 “그 시간까지 해경 함정은 한 대도 보이지 않았다”고 말했다. 정 선장은 “너울성 파도가 심해지고 비도 내려 함께 승선한 해경 두 명이 철수하자고 주장해 철수할 수밖에 없었다”며 “이런 내용을 9일 유가족들에게도 전했다”고 밝혔다.

지난 7일 전남 해남군 다목적체육관에서 열린 첫 브리핑에서 성기주 수사본부장(제주해양경비안전본부 경비안전과장)은 제주함정 302호(300t급) 등 5척과 완도해경 278함 등 11척, 목포해경 1006함(1000t) 등 10척, 창원·서귀포서 각 1척 등 총 28척이 5일 오후 10시 25분부터 구조 활동에 들어갔다고 말했다.

그러나 해경은 9일 배포한 해명자료에서 “제주해경안전서는 오후 10시 25분쯤 가장 먼저 도착한 302함부터 오후 11시 40분쯤에 도착한 3012함까지 5척이 ‘차례로’로 수색에 들어갔고”, “목표해경안전서는 오후 11시 10분부터 10척이 수색 구간에 동원됐다”고 밝혔다. 즉 28척이 수색에 동원됐더라도 ‘동시에’ 사고 지역을 수색하지 못한 것이다. 돌고래호의 어선위치발신장치(V-PASS) 신호가 오후 7시 39분에 끊겼던 점을 감안하면 해경의 수색이 전복 후 3~4시간 뒤에 이뤄졌다는 고백처럼 들린다.

희생자·실종자 가족들은 “수색에 동원된 28척의 이동 경로를 파악할 수 있는 항적도를 보여 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해경은 “함정 28척이 육안으로 확인되지 않을 수 있다”면서 “항적도 공개를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제주 황경근 기자 kkhwang@seoul.co.kr

해남 최종필 기자 choijp@seoul.co.kr
2015-09-11 9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