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기고] 전력설비 건설 갈등 이대로 갈 것인가/설승기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

[기고] 전력설비 건설 갈등 이대로 갈 것인가/설승기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

입력 2015-09-07 17:56
업데이트 2015-09-07 17:5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설승기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
설승기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
올해로 우리나라는 광복 70주년을 맞이했다. 전쟁의 폐허 속에서 ‘한강의 기적’으로 경제 선진국으로 도약했다. 하지만 이러한 성장 과정에서 사회적 갈등 역시 증폭되고 있다. 삼성경제연구소에 따르면 우리나라 사회갈등 수준이 27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두 번째로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전력산업 역시 눈부신 성장을 거듭하며 경제성장에 기여했으나, 최근 심각한 사회적 갈등 요인으로 대두되고 있다. 얼마 전 우여곡절 끝에 준공된 765㎸ 신고리∼북경남변전소 간 밀양 송전탑공사는 전력설비 설치 과정에서 빚어진 사회적 갈등의 대표적 사례이며, 지금도 사회적 갈등이 여러 곳에서 지속되고 있다. 특히 수도권 전력 공급에 꼭 필요한 765㎸ 신경기변전소는 2014년 7월 5개 후보지 결정 후 경쟁적 반대 활동으로 사업이 답보 상태에 있다. 그렇다면 과연 이러한 갈등을 해소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은 없는 것일까.

송전선로는 생산된 전기를 수요지까지 전송하기 위한 필수 불가결한 설비다. 특히 우리나라는 수도권의 전력 소비가 전체의 40%를 차지하고 있어 멀리 떨어진 대규모 발전 단지에서 전력 전송을 위한 대용량 초고압 송전선로가 꼭 필요하다. 물론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한 분산 발전이 대안일 수 있으나, 수도권 전력 공급을 위한 현실적 대안이 되기에는 부족하다. 그러나 송전선로 주변 지역 주민들은 선로 주변에서 발생하는 전자파 유해성 논란 등을 이유로 전력설비 건설을 반대하거나 지중화 요구로 갈등의 골이 깊어지고 있다. 이에 대한 갈등해소 또는 최소화 방안으로 초고압직류송전(HVDC)에 대한 진지한 검토가 이제는 필요하다고 인식된다.

HVDC는 발전소에서 생산한 교류(AC)전력을 직류(DC)로 변환해 전송하는 방식으로 이미 60년 전 스웨덴에서 최초로 적용됐으며, 지난 수십 년간 미국, 인도, 중국, 러시아 등에서 1000㎞가 넘는 장거리 대용량 송전선로에 적용되고 있다. HVDC 방식은 장거리 대용량 전력 수송이 가능하며 전자파에 대한 논란이 없어 건강 유해 논란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철탑의 크기 역시 교류 765㎸ 송전탑의 70% 수준으로 재산권 침해 영향을 줄일 수 있으며, 전송 과정에서 발생하는 전력 손실이 감소해 손실비용을 줄일 수 있는 부가적인 장점도 있다.

HVDC는 새로운 기술이 아니라 1950년대부터 운영되던 안정성과 효율성이 검증된 기술이며 국내에서도 1998년부터 제주~육지 간을 해저케이블로 연결한 HVDC 선로가 안정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또한 최근 반도체 및 정보기술(IT)의 비약적 발전으로 보다 경제적인 HVDC 시스템이 개발돼 실용화되고 있다. 향후 국내 기술로도 이러한 첨단 기술의 HVDC 건설이 가능하리라 예상된다. 새로운 초고압 대용량 장거리 송전선로를 건설할 때 이러한 HVDC를 적용한다면 사회적 수용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물론 송전선로 경과지 주변 지가하락 등에 대한 보상제도 개선도 함께 뒷받침돼야 하겠지만, HVDC 기술이 우리 사회 갈등의 폭을 줄일 수 있는 유망한 대안이 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2015-09-08 3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