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한국철학으로 니체 읽기

한국철학으로 니체 읽기

김성호 기자
입력 2015-09-04 23:42
업데이트 2015-09-05 00:0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니체, 동양에서 완성되다/박정진 지음/소나무/752쪽/3만 5000원


‘신은 죽었다’고 외친 니체는 서구문명의 허무주의를 극복하기 위해 긍정의 철학과 힘에의 철학을 애써 주장한 철학자로 유명하다.

그러나 니체는 시인과 철학자의 경계를 허물지 못해 번민했던 서양철학의 이단아로 더 친숙하다. 흔히 ‘서양 이성철학 전통의 간지(奸智)’로 평가되는 이유이다.

‘니체, 동양에서 완성되다’는 머리와 신체, 의식과 무의식이 엇박자였을 가능성이 높은 니체를 한국철학에 빗대 분석한 책으로 눈길을 끈다.

저자는 언론인 출신으로 한국의 자생철학을 줄곧 강조해 온 시인 겸 인류학자. 그는 서구 철학자들의 니체 읽기를 그대로 따라갈 필요가 없다고 말한다. 대신 ‘한국에서 니체가 살았다면 어땠을까’라는 가정 아래 파격의 니체 읽기를 시도한다.

저자는 니체 철학을 완성된 철학이 아니라고 본다. 니체 이전과 이후 철학의 교량 역할을 통해 후기 근대철학의 물꼬를 튼 서양 근현대철학 변곡점에 선 인물인 것이다. “서양철학의 마지막 광자(狂者)를 위로하고 싶은 마음이 생겼다.” 무엇보다 그 치열함이 서양철학자를 대변하고도 남음이 있다는 그는 그래서 “‘장자’에 등장하는 푸줏간의 포정(?丁)처럼 뼈와 살을 갈라 발라내기로 했다”고 쓰고 있다.

“니체는 서양문명의 생성과 존재의 극심한 대립 틈새에서 마장(魔障)을 떨치지 못한, 실패한 부처이다.” 신은 죽었다고 말함으로써 사실은 신을 살려낸 니체는 인간의 정신을 살려내려 새로운 인간, 즉 초인을 탄생시켰지만 그 초인은 결국 실패했다고 한다.

이 대목에서 저자는 이렇게 일갈한다. “서양에서 동양을 책으로만 접하고 그들의 영양분으로 섭취할 게 아니라 이제는 동양에서 직접 살아봐야 동양의 전인적인 삶, 욕망을 제어하는 선비와 군자 혹은 스님과 신선의 모습을 배울 수 있다.”

김성호 선임기자 겸 논설위원 kimus@seoul.co.kr
2015-09-05 1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