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준 금리 인상하면 美경제 중대한 실수”

“연준 금리 인상하면 美경제 중대한 실수”

박기석 기자
박기석 기자
입력 2015-08-24 18:14
업데이트 2015-08-24 19:4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로런스 서머스 전 재무장관 지적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가 올해 금리를 인상한다는 전망이 계속되는 가운데 미국 재무장관과 국가경제위원장을 지낸 로런스 서머스(60) 하버드대 교수는 “금리 인상은 미국 경제에 심각한 위협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로런스 서머스 하버드대 교수
로런스 서머스 하버드대 교수
서머스 전 장관은 23일자 파이낸셜타임스에 기고한 ‘연준은 위험한 실수를 하려 한다’는 제목의 칼럼에서 “연준이 가까운 미래에 금리를 인상하면 연준의 주요 목표인 물가 안정, 완전 고용, 금융 안정을 해치는 중대한 실수를 저지르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빌 클린턴 정부 시절인 1999년 7월부터 2001년 1월까지 재무장관을 지냈다.

서머스 전 장관은 현재 인플레이션이 연준의 목표치인 2%에 미치지 못한다면서 금리 인상은 디플레이션을 유발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연준이 인플레이션 계산에 쓰는 주요 지표인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는 지난 6월의 경우 전월 대비 0.2%, 전년 동기 대비 0.3% 상승하는 데 그쳤다. 그는 또 시장에서는 향후 10년간 인플레이션이 2%를 밑돌 것이라고 예상한다며 중국 등 신흥 시장의 통화 가치가 계속 하락하면 미국의 인플레이션은 더욱 낮아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서머스 전 장관은 금융시장 안정에 대해서는 6개월이나 9개월 전이라면 금리 인상이 영향을 덜 미쳤을 수 있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중국 등 신흥 경제가 혼란한 상황에서 유동성 위기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며 이 시기에 금리를 올리는 것은 예측 불가능하고 위험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또 금리 인상이 완전 고용 목표에도 부정적 효과를 유발한다고 경고했다.

금리 인상이 연준의 3가지 주요 목표에 악영향을 미치는 데도 금리 인상에 대한 압박이 잦아들지 않는 이유는 현재의 ‘제로 금리’가 비정상적인 것으로 간주되기 때문이라고 그는 지적했다. 그러나 과학기술과 인구분포가 변화하고 금융부문의 규제가 강화되면서 세계 경제의 수요가 공급을 따라가지 못하는 ‘구조적 장기침체’가 자리잡게 됐다고 주장했다. 이어 만족할 만한 경제성장을 달성하려면 전례 없이 낮은 금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기석 기자 kisukpark@seoul.co.kr
2015-08-25 6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