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사설] 中위안화 절하 충격 이겨낼 선제 대책 필요하다

[사설] 中위안화 절하 충격 이겨낼 선제 대책 필요하다

입력 2015-08-12 18:08
업데이트 2015-08-12 18:1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중국이 이틀 연속 위안화 평가절하에 나서면서 글로벌 환율 전쟁을 촉발할 것이라는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중국은 그제 기습적으로 위안화 가치를 1.86% 내린 데 이어 어제도 다시 1.62%를 추가 절하했다. 예상치 못한 중국의 추가 절하가 이틀 내리 이어지면서 세계 금융시장은 요동쳤다. 국내 시장도 원·달러 환율이 1200원대를 위협하며 3년 10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코스피와 코스닥 지수도 급락했다. 중국이 이틀 연속 위안화를 절하한 것은 경제 여건이 예상보다도 더 나빠져서 다급해졌다는 방증이다. 지난해 11월부터 세 차례나 기준금리를 내리며 경기 부양에 나섰지만 기대했던 효과를 거두지 못하자 ‘최후의 카드’를 꺼낸 것이다. 위안화 가치를 내려서 수출 경쟁력을 높이고 경기 둔화에서도 벗어나겠다는 시도다.

위안화 평가절하는 우리에게는 양면성이 있다. 위안화 가치가 떨어지는 것에 동조해 원화 가치도 떨어지면 수출 경쟁력에 도움이 된다. 중국의 경기가 살아나면 중국에 중간재를 수출하는 우리 기업들의 수출도 늘어난다. 하지만 큰 틀에서는 부정적인 영향이 더 크다. 세계 시장에서 중국과 경합하고 있는 우리나라로서는 중국의 가격경쟁력에 밀리게 되고 중국과의 경합 제품에서도 뒤처지게 돼 수출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위안화 평가절하로 글로벌 환율 전쟁을 부추길 것이라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다른 아시아 국가도 중국처럼 자국 통화의 절하에 나설 수 있기 때문이다. 미국이 조만간 금리를 인상하면 아시아 신흥국들의 연쇄적인 화폐 가치 하락으로 글로벌 자금이 이탈하게 되고 신흥국 외환위기를 초래할 위험도 있다. 엔화와 유로화 약세에 이어 위안화 절하라는 3중의 환율 협공은 한국 경제에는 또 다른 암초다. 우리나라의 대중국 수출 비중이 25%에 이르는 점을 고려하면 위안화 절하는 금융뿐 아니라 실물경제에까지 악영향이 전이될 수밖에 없다.

가계부채와 취업난으로 내수가 바닥인 상태에서 수출 부진으로 국내 대기업들의 수익성까지 떨어지면 우리 경제는 경기 회복의 돌파구를 찾기가 더 어려워질 것이다. 글로벌 환율 전쟁의 본격적인 충격이 우리 경제를 덮치기 전에 가능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금융시장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는 한편 추가 위안화 절하를 비롯한 시나리오별 대응책을 준비하는 데 한 치의 소홀함이 없어야 한다. 중장기적으로는 산업 구조조정과 기술개발 등을 통해 경쟁력을 확보해 위기에 대처해야 한다.
2015-08-13 27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