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문화전당 첫 공연… 실험적 예술가들 재조명

아시아문화전당 첫 공연… 실험적 예술가들 재조명

김소라 기자
김소라 기자
입력 2015-07-30 00:16
업데이트 2015-07-30 02: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예술극장 10월 프로그램 공개

국립아시아문화전당(문화전당)이 오는 9월 4일 문을 여는 가운데, 문화전당의 내부 5개원 중 하나인 예술극장이 베일을 벗었다. 극장은 10월 막을 올리는 2015~2016시즌 프로그램을 통해 동시대의 실험적인 공연예술을 발굴하고 재조명한다.

이미지 확대
28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예술극장 2015~2016시즌 프로그램 발표회에서 세계적인 공연·전시기획자 프리 라이젠이 ‘아워 마스터’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있다. 연합뉴스
28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예술극장 2015~2016시즌 프로그램 발표회에서 세계적인 공연·전시기획자 프리 라이젠이 ‘아워 마스터’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있다.
연합뉴스
광주 옛 전남도청 자리에 들어선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은 국책사업인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조성사업의 핵심시설로 연구 및 교류, 창작, 공연, 교육 등이 이루어지는 복합문화시설이다. 이 중 ‘아시아 공연예술의 허브’를 표방하는 예술극장은 각각 1120석과 512석 규모의 극장을 보유하고 있다. 올 시즌 프로그램은 20세기 공연예술의 변혁을 이끈 예술가들을 재조명하는 ‘아워 마스터’와 아시아의 오늘을 공연예술에 담아내는 ‘아시아 윈도우’ 두 축으로 구성된다.

세계 공연·전시계의 ‘대모’라 불리는 벨기에 출신의 공연 기획자 프리 라이젠(65)이 큐레이터가 돼 ‘아워 마스터’ 프로그램을 지휘한다. 세계 연극계와 무용계를 혁신적으로 변화시킨 예술가들의 가장 전설적인 작품으로 필립 글래스·로버트 윌슨의 ‘해변의 아인슈타인, 4막의 오페라’, 팀 에첼스의 ‘더티 워크’·‘마지막 탐험’, 리스토프 마탈러의 ‘테사 블롬슈테트는 포기하지 않는다’, 히지카타 다쓰미의 ‘부토 프로젝트’, 윌리엄 켄트리지의 ‘율리시스의 귀환’을 선정했다. 프리 라이젠은 지난 28일 기자간담회에서 “예술 자체와 예술가의 사회적 위치에 대해 질문했던 예술가들”이라면서 “이들의 영감이 지난 세기에 많은 역사를 이루어냈다”고 설명했다.

‘아시아 윈도우’는 5인의 기획자들이 오늘날 아시아의 중요한 주제를 포착하고 예술 작품으로 만들어내는 프로그램이다. 헬리 미나르티(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요우미(중국 베이징· 독일 쾰른), 라야 마틴(필리핀 마닐라), 타렉 아부 엘 페투(이집트 카이로·벨기에 브뤼셀), 장영규(서울) 등 각 지역의 예술가들이 아시아 공연예술의 현주소를 보여준다.

실험적이고 심미적인 예술을 추구하는 탓에 광주 시민들과 호흡하는 대중성이 부족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김성희 예술감독은 “80% 이상의 작품에서 작가와의 대화를 통해 지역 주민, 관객들과 소통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
2015-07-30 19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