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문화마당] 모퉁이에서 홍역 앓기/천운영 소설가

[문화마당] 모퉁이에서 홍역 앓기/천운영 소설가

입력 2015-07-22 18:02
업데이트 2015-07-22 18:5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천운영 소설가
천운영 소설가
홍역을 앓았다. 어떤 일에 애를 먹거나 고통을 겪고 난 후에 비유적으로 흔히 쓰는 말이다. 그 일이란 게 반드시 치러야만 하는 것일 때도 있고, 굳이 치르지 않았어도 되는 일일 때도 있다. 요즘에야 홍역이 필수 예방접종 목록으로 남은 병명일 뿐이지만, 예전에는 한 아이가 걸리면 주변 아이들이 줄줄이 앓아눕고, 그중 누구 하나는 죽기도 했던 꽤 혹독한 병이었다. 비유가 아니라 말 그대로의 홍역. 그것을 치른 때는 일곱 살 무렵이었다.

그저 이상했다. 열꽃이 피는 몸이 이상하고, 마음대로 움직여지지 않는 팔다리가 이상했다. 온통 이상한 기운과 이상한 감각과 이상한 느낌들. 부모님 기억으로는 병을 앓는 아이가 아니라 뭐에 홀린 아이 같았다고 한다. 분명 뭔가에 홀리긴 홀렸다.

모퉁이. 천장과 두 벽이 만나는 지점. 세 모서리가 만나 만든 그 구석에 두세 살쯤 된 아이가 보였다. 나처럼 눈썹이 흐리고 코가 뭉뚝한 아이였다. 풍선처럼 둥둥 떠올라 거기까지 밀려간 것도 같고, 거기서부터 흘러나온 덩어리 같기도 했다. 내가 누워 앓는 동안 아이는 모퉁이에 머물렀다. 무서운 느낌보다 따뜻한 느낌이 들었다. 아이와 나는 멀리서 눈을 맞추고 얘기를 나눴다. 소곤소곤 키득키득. 그야말로 헛것을 보고 헛소리를 지껄인 셈인데, 부모 입장에서 보자면 그 헛소리들이 바로 내가 뭐에 홀렸다는 근거이기도 했다.

저기 천장 모퉁이에 어떤 애가 있어. 나를 자꾸 누나라고 불러. 그러곤 괜히 웃어. 이제부터 내 동생해도 돼? 뭐 이런 요상한 헛말들. 그런데 그 헛말이 아주 헛말은 아니었던 모양이다. 그때까지 본 적도 들은 적도 없는 존재였지만, 이 세상에 태어나 며칠 살다 죽은 동생이 있기는 있었다는 것. 그저 헛것이라 할 수 없는 너무나 생생한 과거였다. 그러니 홍역이야 어찌어찌 치를 수 있다 쳐도, 죽은 자식이 찾아와 산 자식을 괴롭힌다면 그 끝이 불 보듯 훤하지 않겠는가. 두렵고도 불안했다고 한다. 그 불안의 가장 밑바닥에는 죄책감과 회한 같은 것이 웅크리고 있었을 것이다. 어쩌면 그때 진짜 홍역을 앓았던 사람은 내가 아니라 내 부모였는지도 몰랐다. 내가 말 그대로의 홍역을 치렀다면, 내 부모는 자식의 헛소리를 들으며 비유로서의 홍역을 앓았다.

어쨌거나 우려했던 일은 일어나지 않았고, 홍역도 무사히 지나갔다. 열꽃이 가라앉자 그 아이도 자취를 감췄다. 모퉁이의 묘한 기운도 사라졌다. 뭔가를 앓았다기보다는 뭔가에 흥건하게 취했다가 깨어난 기분이었다. 홍역을 그렇게 기분 좋게 앓기도 어려울 것이다. 무언가 낯설고 신기한 다른 차원에서 놀다 돌아온 느낌. 그때부터 내게 홍역은 모퉁이와 같은 단어가 되었다. 즐거운 모퉁이.

모퉁이는 따라붙는 단어에 따라 지점이 달라진다. 거기 몰리면 나락이고, 거기 들어가면 구석이고, 거기를 돌면 새로운 길이다. 꼭짓점을 눌러서 안과 밖이 바뀌는 종이접기처럼. 안이면서 밖이고 막바지이면서 전환점이 된다. 홍역을 앓고 나면 다시는 홍역에 걸리지 않는다. 딱 한번 앓는 것으로 영원한 면역을 얻을 수 있다니 참으로 놀라운 일이다. 항체를 가진, 이전과는 다른 몸. 그때 내 즐거운 모퉁이에서 나는 어떤 항체를 획득했을까. 내 부모의 두려운 모퉁이에서는 어떤 항체가 생겨났을까.

홍역을 앓았다. 비유로서의 홍역. 어쩌면 아직도 앓고 있는 중인지도 모르겠다. 모퉁이를 돌고 돌았는데 언제 끝이 날지 알 수가 없다.
2015-07-23 3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