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 軍기강 확립·군권 강화 ‘두 토끼 잡기’

시진핑 軍기강 확립·군권 강화 ‘두 토끼 잡기’

이창구 기자
이창구 기자
입력 2015-07-20 23:48
업데이트 2015-07-21 03:1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반도 유사시 담당 지린성 부대 방문… 쉬차이허우 재론하며 부패 척결 ‘의지’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한반도 유사시를 담당하는 군부대를 방문해 군 기강 확립을 주문했다. ‘군 부패의 몸통’으로 불렸던 전 군사위 부주석 쉬차이허우(徐才厚) 사건을 또다시 거론하며 군 부패 척결 의지도 다졌다.

20일 인민일보 등에 따르면 시 주석은 지난 18일 지린성 창춘 소재 제16집단군을 방문했다. 시 주석은 특히 부패 혐의로 수감됐다가 지난 3월 방광암으로 사망한 쉬 사건을 언급하며 “그의 기율위반이 군대에 전면적인 손실을 가져왔다”면서 “군은 사상·정치·조직·작풍(근무기강)에 드리워진 쉬차이허우의 악영향을 완전히 제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시 주석이 공개적으로 쉬를 비판한 것은 이번이 네 번째다.

시 주석은 또 “(공산주의) 사상을 견지하고 임전 태세를 확립해야 한다”며 실전과 같은 강력한 훈련을 주문했다. 당 중앙군사위 주석인 시 주석은 지난해 3월 ‘이기는 군대 건설’을 선언한 이후 훈련을 강조해 왔다.

중국군은 올해 국방백서를 통해 기존의 ‘방어 위주’ 전략을 ‘공격·방어 겸비’ 전략으로 전환했음을 분명히 했다.

시 주석이 제16집단군에서 부패 척결과 훈련을 강조한 것도 눈길을 끈다. 16집단군은 쉬가 1990~92년에 정치위원을 지낸 곳이자 선양군구와 함께 한반도 유사시에 대비하는 임무를 맡고 있는 부대이다. 이틀 동안의 지린성 시찰에 포함된 일정 중 하나였지만, 북한 탈영병의 중국인 살해 및 탈북자 난동에 대한 경고의 의미도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시 주석의 군기 확립 행보는 군권 강화와 맥이 닿아 있다. 특히 오는 8월 1일 건군절을 앞두고 현재 군 고위급 인사가 진행되고 있는데 그의 신임을 받는 50대 젊은 장군들의 약진이 두드러진다. 청두군구 부정치위원인 장수궈(張書國·55) 소장이 수도방위를 담당하는 베이징군구 정치부 주임으로 발탁된 게 대표적이다. 지난 1월에는 중앙군사위 산하 4총부(총정치부, 총참모부, 총후근부, 총장비부) 정치위원들과 7대군구 사령원(사령관) 등 군 수뇌부가 모두 시 주석에게 충성을 맹세했다.

베이징 이창구 특파원 window2@seoul.co.kr
2015-07-21 15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