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권위 “정신병원 강제입원제도, 헌법에 위배”

인권위 “정신병원 강제입원제도, 헌법에 위배”

입력 2015-07-15 09:25
업데이트 2015-07-15 09: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위헌 여부 심리중인 헌법재판소에 의견서 제출

국가인권위원회는 보호자 2명의 동의와 의사 1명의 진단만으로 6개월까지 정신질환자를 입원시킬 수 있는 ‘강제입원제도’가 헌법에 위배된다는 의견서를 헌법재판소에 제출했다고 15일 밝혔다.

인권위는 “정신보건법 제24조 1·2항에서 규정한 강제입원제가 헌법상 적법절차의 원칙에 반하고 정신질환이 있다고 여겨지는 사람의 자기결정권과 신체의 자유를 과도하게 제한한다”고 지적했다.

현행 강제입원제는 위헌법률심판이 제청돼 헌재가 이를 심리하는 중이다.

인권위에 따르면 지난 5년간 인권위에 접수된 정신병원 관련 인권침해 진정사건은 1만여건으로, 인권위 전체 진정사건의 18.5%를 차지한다.

보건당국이 발간한 2013년 정신보건통계현황집을 보면 국내 정신병원에는 모두 8만462명이 수용돼 있으며 이 가운데 73.1%가 강제입원제를 통해 입원한 환자로 집계됐다.

인권위는 “현행 제도는 정신질환이 있다고 의심받기만 하면 간단한 절차에 의해 강제입원 돼 6개월에서 길게는 수십 년까지도 강제입원이 허용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부당하게 강제입원된 사람이 인신구제 청구 등 제도를 통해 어렵게 퇴원명령을 받고 퇴원하더라도 병원 문 앞에서 다시 이송업체 구급차로 곧바로 다른 병원에 옮겨지는 ‘회전문입원’도 공공연하게 이뤄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인권위는 현행 강제입원제가 헌법에 위배될 뿐 아니라 유엔이 채택한 국제기준 위반이며 독일·미국 등 선진국 제도와 비교해도 지나치게 간단하고 신속히 입원을 허용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최저임금 차등 적용, 당신의 생각은?
내년도 최저임금 결정을 위한 심의가 5월 21일 시작된 가운데 경영계와 노동계의 공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올해 최대 화두는 ‘업종별 최저임금 차등 적용’입니다. 경영계는 일부 업종 최저임금 차등 적용을 요구한 반면, 노동계는 차별을 조장하는 행위라며 반대하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