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단독] 아시안게임 연금액 17년째 그대로… 물가 반영도 안 됩니다

[단독] 아시안게임 연금액 17년째 그대로… 물가 반영도 안 됩니다

최훈진 기자
입력 2015-07-02 00:10
업데이트 2015-07-02 02:5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비운의 체조선수’ 김소영씨의 눈물

“옛말에 ‘가난은 나라님도 못 구한다’고 하잖아요. 금메달 땄을 때는 영웅 대접을 받지만 막상 형편이 어려워지면 아무리 엘리트 체육인 출신이라도 고독사가 남의 일이 아닌 상황이 되는 거죠.”

‘비운의 체조 선수’ 김소영(44)씨는 1일 베이징아시안게임(1990년) 역도 금메달리스트인 김병찬(46)씨의 안타까운 죽음<서울신문 7월 1일자 10면>이 마치 자신의 책임이라는 듯 자책했다. 체조 국가대표였던 김씨는 고1 때인 1986년 8월 서울아시안게임 개막을 20여일 앞두고 막바지 훈련을 하다 이단평행봉에서 추락해 사지마비 장애인(1급)이 됐다.

이미지 확대
전 체조 국가대표 김소영씨가 1일 서울 중구 태평로 서울신문 본사 앞에서 휠체어에 앉아 전 역도선수 김병찬씨의 안타까운 죽음에 대해 말하고 있다.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전 체조 국가대표 김소영씨가 1일 서울 중구 태평로 서울신문 본사 앞에서 휠체어에 앉아 전 역도선수 김병찬씨의 안타까운 죽음에 대해 말하고 있다.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친했던 ‘역도 영웅’ 김병찬 못 도와줘 자괴감

“제가 한국척수장애인협회에서 근무하고 있어요. 정부 예산을 지원받아 척수장애인이 된 사람들을 지원하는 일을 하고 있죠. 김병찬 선수의 상황을 알았다면 진작에 더 적극적으로 나설 수 있었을 텐데 안타까우면서 자괴감도 많이 드네요.”

김씨는 20대 초반에 체조 선수인 지인을 통해 당시 한국체대에 재학 중이던 김병찬씨를 알게 됐고 이후 가깝게 지냈다. “김병찬 선수는 저보다 두 살 많은 친구였는데 마음이 여린 편이라 그런지 저를 참 잘 챙겨 줬어요. 휠체어를 탄 나와 함께 다니는 걸 전혀 부끄러워하지 않아 금세 친해졌지요.”

어쩌다 보니 1994년부터 연락이 끊겼고 이후 1996년 김병찬씨는 오토바이 사고로 왼쪽 몸이 마비됐다. 김씨는 당시 사고 소식을 듣지 못했고 이번에야 비로소 그의 비극을 알게 됐다며 애통해했다. “주변에 김병찬 선수가 19년 전 오토바이 사고로 사망한 줄 알았던 국가대표 출신 체육인들이 많더라고요. 그만큼 은퇴 후 서로 교류가 없었던 것이죠. 엘리트 체육인들 대부분이 어린 시절부터 훈련 위주로 생활하다 보니 사회생활도 어려워하는 경향이 있지요.”

김씨는 김병찬씨의 죽음이 지난해 ‘송파 세 모녀 사건’과 다르지 않다고 했다. “최저생계비 지원을 받지 못한 김병찬 선수가 만약 융통성 있는 행정 조치로 생계비 지원을 받았다면 이런 비극이 빚어졌을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김병찬씨는 금메달리스트라서 받는 연금 52만여원이 보건복지부가 정한 최저생계비(49만 9288원)보다 3만원 가까이 많아 생계비 지원을 받지 못했다.

●선수들 훈련하느라 학업·사회성 제대로 못 익혀

김씨는 “물가상승률을 반영하지 못한 연금액도 김병찬 선수의 죽음을 막지 못한 요인”이라고 했다. 아시안게임 메달 연금액은 1999년 52만원으로 책정된 이후 17년간 오르지 않고 그대로다.

김씨는 “체육인 복지를 논할 때 ‘사지가 멀쩡한데 뭘 못 하느냐’는 말이 쉽게 나오지만 이는 현실을 모르고 하는 말”이라면서 “엘리트 체육인들은 훈련하느라 학업뿐만 아니라 학교에서 배우는 사회성도 제대로 익히지 못하는데, 특히 고인은 교통사고로 다쳐 장애인이 된 탓에 국가대표 선수가 훈련 도중 사고로 다쳤을 때 받는 상해연금에서도 제외돼 있었다”고 말했다. 동료를 지켜주지 못한 애통함에 김씨의 두 눈이 젖어들었다.

최훈진 기자

choigiza@seoul.co.kr
2015-07-02 8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위기 당신의 생각은?
정부의 의대 정원 증원 발표 후 의료계와 강대강 대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료인력 공백이 장기화하면서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 의료공백 위기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어떤가요.
의료계 책임이다
정부 책임이다
의료계와 정부 모두 책임있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