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호 연평해전 전사자에 “개죽음 당하는 일…” 발언 논란…野 대국민사과 요구

김태호 연평해전 전사자에 “개죽음 당하는 일…” 발언 논란…野 대국민사과 요구

입력 2015-06-29 17:13
업데이트 2015-06-29 17:1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태호 연평해전 전사자 발언 논란
김태호 연평해전 전사자 발언 논란
김태호 연평해전 전사자에 “개죽음 당하는 일…” 발언 논란…野 대국민사과 요구

김태호 연평해전 전사자

김태호 새누리당 최고위원이 29일 제2연평해전 전사자들을 언급하며 ‘개죽음’을 당했다고 발언해 논란이 일고 있다.

김 최고위원은 논란이 불거지자 “너무도 안타까운 고귀한 죽음을 애도하기 위한 표현”이라고 해명했지만 야당은 강하게 비판하며 대국민사과를 요구했다.

김 최고위원은 이날 오전 경기 평택상공회의소에서 열린 현장 최고위원회의에서 연평해전 13주년을 맞아 관련 발언을 하면서 “다시는 우리 아들 딸들이 이런 개죽음을 당하는 일은 없어야 한다”고 말했다.

김 최고위원은 “(연평해전 당시엔) 참 국가도 아니었다. 이상한 전투수칙 때문에 방아쇠 손을 걸어놓고 무방비로 북한의 기습공격에 당할 수밖에 없던 상황이었다. 그저 어머니를 외치면서 죽어간 아들들은 기가 찬 일이다”라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이제부턴 사자처럼 용맹하게 즉각적으로 대응해야 한다. 잘못 건드리면 백 배, 천 배 더 응분의 대가를 각오해야 할 정도로 과감하게 대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개죽음’이라는 말은 아무런 보람이나 가치가 없는 죽음을 비유하는 말로, 김 최고위원의 단어 사용이 곧바로 논란을 불러 일으켰다.

김 최고위원은 이후 자신의 페이스북에 “개죽음과 관련한 발언은 제2연평해전 전사자들의 너무나도 안타까운 고귀한 죽음을 애도하기 위한 표현이었다”며 해명했다.

김 최고위원은 “제대로 된, 납득할 수 있는 교전수칙이 해당 과거 정부에서 수립되어 있었더라면 우리의 젊은 아들들은 죽을 필요도 없었을 것이다. 우리 군인들이 안타깝게 죽어간 것이라 생각하며 이를 표현한 것”이라며 “저는 결코 전사자들을 모독하고 유가족의 마음에 상처를 주기 위한 의도가 아니었다”고 강조했다.

이어 “앞 뒤 문맥을 보면 충분히 뜻을 알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진의를 왜곡하지 말기 바란다”며 “고귀한 그분들의 희생을 정치적 도구로 악용하려는 시도는 아닐 것이라 믿는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새정치민주연합은 김 최고위원의 발언을 비판하며 사과를 요구했다.

김영록 수석 대변인은 국회 브리핑을 갖고 “집권 여당 최고위원이 제2연평해전 전사자들의 고귀한 희생을 막말로 폄훼했다”며 “나라를 지키기 위해 목숨 바친 장병들의 죽음에 이념적 잣대를 들이대면서 아무런 보람도, 가치도 없다고 생각하는 것인가”라고 반문했다.

이어 ‘전투수칙 때문에 무방비로 북한의 기습공격을 당할 수밖에 없었다’는 발언에 대해서도 “북한의 기습공격에 희생당한 부분을 이념적 편향으로 왜곡시킨 것”이라며 “이는 단순히 국민의 정부를 깎아내리는 수준을 넘어 희생장병들의 숭고한 죽음을 모독하는 망언으로, 사실관계를 똑바로 알고 말씀하시라”고 꼬집었다.

김 대변인은 그러면서 “제1,2 연평해전은 국민의 정부의 단호한 대처방침과 해군 장병들의 영웅적 희생으로 북한의 기습공격을 격퇴한 승리의 해전”이라며 “김 최고위원은 부적절한 발언의 진의가 무엇인지 밝히고, 즉시 유가족과 국민 앞에 사과하라”고 촉구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