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현대사회 움직이는 불안의 양면

현대사회 움직이는 불안의 양면

함혜리 기자
입력 2015-05-23 00:06
업데이트 2015-05-23 03:0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불안들/레나타 살레츨 지음/박광호 옮김/후마니타스/294쪽/1만 6000원

‘불안’은 현대사회를 특징짓는 단어이자 정신분석학에서 가장 핵심적인 개념 가운데 하나다. 철학자이자 사회학자로 슬로베니아 정신분석학파의 일원으로 맹활약하는 레나타 살레츨은 정신분석학적 통찰로 현대 자본주의 사회에서 겪는 다양한 변화와 이로 인한 불안한 마음을 들여다본다. 그의 저작 ‘불안들’은 프로이트와 라캉의 이론을 빌려 생생한 사례들과 함께 불안의 정체와 그 책임이 과연 어디에 있는지를 분석한다. 전쟁, 노동, 사랑, 모성, 권위 등 다섯 가지 주제를 통해 불안의 논리를 탐구하는 책의 핵심은 불안이 반드시 ‘없애야 할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이미지 확대
세상은 취업, 주거, 교육 등 사회경제적 문제부터 원전, 테러, 전쟁, 기후변화, 바이러스 등까지 현대인의 삶을 위협하고 불안을 가중시키는 크고 작은 요소들로 가득하다. 저절로 절규가 터져 나오는 상황이다. 에드바르트 뭉크의 1893년 작품 ‘절규’.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세상은 취업, 주거, 교육 등 사회경제적 문제부터 원전, 테러, 전쟁, 기후변화, 바이러스 등까지 현대인의 삶을 위협하고 불안을 가중시키는 크고 작은 요소들로 가득하다. 저절로 절규가 터져 나오는 상황이다. 에드바르트 뭉크의 1893년 작품 ‘절규’.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많은 참전 군인들은 전후에 우울증에 빠지고 때로 불안발작을 일으킨다. 심한 경우 이런 외상후증후군들은 자살을 유발하기도 한다. 살레츨은 군인들의 불안을 다루는 군 정신의학의 조치과 전후에 군인들에게 나타난 실제 외상후증후군 사례를 통해 주체가 불안을 느끼게 되는 메커니즘과 사회가 이를 다루는 방식을 분석한다.

이미지 확대
제4차 중동전에 참전했던 이스라엘 병사 아미는 자신을 전쟁 영화 속에서 군인을 연기하는 배우라고, 관광이나 영화 촬영을 나왔다고 상상하며 불안을 극복했다. 그러나 그런 그의 환상은 시체들이 뒤엉킨 현실을 마주한 후 붕괴되고 극심한 신경쇠약을 촉발했다. 이처럼 주체는 자신에게 설득력 있는 시나리오, 즉 환상을 만들어 불안을 막는다. 군 정신의학에서는 살인을 사냥으로 제시하는 등 인위적으로 환상을 만들어 냄으로써 전투를 독려하는 방법을 써 왔으며, 불안을 경감하거나 기억을 지우는 약을 개발 중이다.

이에 대해 저자는 “불안은 불편한 느낌이지만 단순이 사람을 무기력하게 만드는 것만은 아니다”라며 “불안에는 주체를 준비상태로 만들 수 있는 힘이 있고, 따라서 주체가 자신의 환상을 산산조각 냄으로써 신경쇠약이나 트라우마를 유발할 만한 사건을 마주하는 경우 무기력해지거나 놀라는 정도를 줄여 줄 수 있다”고 피력한다.

오늘날 자본주의 이데올로기는 삶의 모든 것이 선택의 문제이고, 주체의 자유의지에 따라 무엇이든 될 수 있고 삶에서 향락을 추구하는 데는 제한이 없다고 사람들을 부추긴다. 그러나 이런 선택의 풍요는 새로운 불안, 죄책감, 부족감을 야기한다. 하이퍼 자본주의는 이를 마케팅에 활용하고, 미디어는 이런 불안심리를 확대 재생산한다.

사랑과 불안에 대한 저자의 접근도 흥미롭다. 라캉에 따르면 사랑하는 사람은 상대방에게 없는 것을 원하기 때문에 사랑은 늘 얼마간의 불확실성을 수반한다. 양육은 특히 불안을 일으킨다. 편집증적 양육으로 불리는 오늘날의 문화에서 ‘어머니’는 상징적 역할에 끊임없이 불안을 느끼고 제대로 아이를 키우지 못한다는 죄책감을 느낀다.

사람들은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한 불안을 없애고 스스로를 호감 가는 페르소나로 만들어야 한다는 부담과 싸우며 명상을 하거나 자기계발서를 보고, 멘토나 구루를 찾아간다. 보다 빠른 해결책으로 항우울제에 의존하는 사람도 상당수에 이른다. 현대 사회에서 우리는 불안을 없애거나 적어도 통제해야 하는 무엇으로 생각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저자는 “불안을 느낀다는 것은 사회가 정신병화되지 않았다는 징후”라며 “불안은 사람들을 마비시킬 수 있는 것이기도 하지만 사람들이 세계와 관계를 맺는 데 매개가 되는 바로 그 조건이기도 하다”고 강조한다.

함혜리 선임기자 lotus@seoul.co.kr
2015-05-23 1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