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어 배우는 학생 있기에…” 되레 고마워한 교수님

“일본어 배우는 학생 있기에…” 되레 고마워한 교수님

최훈진 기자
입력 2015-05-16 00:02
업데이트 2015-05-16 00:5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화여대 ‘기억에 남는 스승’ 유일한 외국인 쓰쓰이 아키히로

“일본어 교육은 일제 강점기 때 한민족 문화 말살의 주요 수단이었습니다. 오랜 세월이 흘렀다고는 하지만 일본어를 배우려는 한국 학생들이 있어 오히려 제가 고맙습니다.”
이미지 확대
쓰쓰이 아키히로 교수
쓰쓰이 아키히로 교수


올해로 4년째 이화여대 인문대 일본언어문화연계전공 조교수로 재직 중인 쓰쓰이 아키히로(47) 교수는 15일 스승의 날을 맞아 학생들로부터 ‘기억에 남는 스승’ 11명 중 한 명으로 뽑혔다. 외국인 교수로는 유일하다. 학교 측은 지난 4~10일 페이스북 홈페이지를 통해 교수들과의 사연을 응모했고, 공감을 뜻하는 ‘좋아요’를 많이 받거나 여러 번 ‘공유’가 된 교수들에게 케이크와 카드를 전달했다. 사연을 올린 학생은 “늘 수업 시작 10분 전에 강의실에 오셔서 ‘곤니치와’(안녕하세요) 하며 따뜻하게 맞아주셨던 모습이 아직도 기억에 남습니다. 교수님의 진정성을 느꼈습니다. 교수님께 좋은 추억을 만들어 드리고 싶습니다”라고 썼다.

쓰쓰이 교수는 “내가 기억에 남는 스승이 될 만한 자격이 있는지 모르겠다”며 멋쩍어했다. 일본 지바현의 외국어대학에서 5년간 학생들을 가르치던 그가 한국 땅을 밟은 것은 2005년이다. 그는 “한국인 제자가 소개해 준 한국 여성과 사랑에 빠져 이곳에 오게 됐다”면서 “두 딸을 낳고 살다 보니 어느새 10년이 흘렀다”고 말했다.

쓰쓰이 교수는 1997~2000년 미국 매사추세츠대 유학 시절, 한국에 처음 관심을 갖게 됐다. 그는 “일본어를 배우던 한 한국 학생이 ‘부모님은 내가 일본어 공부하는 것을 모르신다. 절대 말씀드릴 수가 없다’고 했다. 일본 군국주의가 패망한 지 수십년이 흘렀지만, 여전히 한국인 상당수가 일본에 대해 좋지 않은 감정을 갖고 있다는 걸 깨달았다. 쓰쓰이 교수는 모국어 대신 일본어를 쓰도록 강요받았던 한국인의 아픔에 공감했다. 그는 “학생들이 일본어를 왜 공부하는지 항상 궁금하지만 물어보지는 못한다. 민감한 질문이 될 수도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에서 일본어를 가르치는 것이 한·일 관계가 좋아지는데 작은 도움이라도 된다면 보람을 느낄 것 같다”고 덧붙였다.

일본인 아빠와 한국인 엄마를 둔 두 딸 때문에 한·일 관계는 그에게 피할 수 없는 숙제다. “하루는 초등학교 2학년인 큰딸이 ‘아빠! 운동회 때 ‘독도는 우리 땅’ 노래에 맞춰 율동 한대요. 아빠는 이런 거 싫죠?’라고 묻더군요. 상관없다며 웃어 보였지만 앞으로 더 많은 대화가 필요하다는 걸 깨달았습니다. 딸들과 나처럼 두 나라 국민이 자주 만나고, 대화를 하면 한·일관계도 언젠가 복원되지 않을까요?”

최훈진 기자 choigiza@seoul.co.kr
2015-05-16 2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