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항공사 안심지수 64.5점 낮은 수준...저가항공에 대한 우려 더 커

국내 항공사 안심지수 64.5점 낮은 수준...저가항공에 대한 우려 더 커

입력 2015-05-10 18:24
업데이트 2015-05-10 18: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민들의 국내 항공사에 대한 안심 지수는 64.5점(100점 만점)으로 낮았다. 안심 지수는 사건 및 사고 등의 위험 발생 전, 발생 시 대응, 사후 조치 등 위험사례의 진행경과에 따라 안심하는 정도를 평가하는 척도이다. 안심 수준은 일상 생활에서 불안을 느끼지 않고 편안함을 느끼는 정도다.

일반 항공으로 분류된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은 67.1점, 제주항공·진에어·에어부산·아스타항공·티웨이항공 등 저가 항공 5사는 61.8점이다. 최근 잦은 국내외 항공사고 탓에 항공기에 대한 불안이 늘어난 경향이 짙다.


성균관대 SSK위험커뮤니케이션연구단(단장 송해룡 교수)과 포커스컴퍼니(대표 최정숙)이 10일 내놓은 설문조사결과다. 위험컴연구단은 만 20세 이상의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했다.

성별로 보면 저가항공의 경우 남자(62.5점)가 여자(60.8점)보다 안심지수가 높았다. 특히 50대 이상(66.1점) 연령대에서 안심지수가 컸다.

일반항공에서는 저가항공과는 달리 여자(67.4점)가 남자(66.9점)에 앞섰다.50대 이상(69.7점)에서는 저가항공과 같이 안심지수가 높았다.

김원제 위험컴연구단 책임연구원은 “결과는 국민이 국내 항공에 대해 이동수단으로서 안심하지 못함을 드러내고 있다.”면서 “사회 각 분야에서 안전에 대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음에도 불구, 항공 안심지수 64.5점는 국내 항공사들의 노력이 부족함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또 “저가항공사들의 안전 대책 및 신뢰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전략이 잘못됐거나 미흡하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